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조선ㆍ해운 구조조정 급물살②]전문가 “조선 빅3간 사업 통폐합 논의부터 본격화 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박영훈 기자] 취약업종에 대한 구조조정 작업이 급물살을 타고 있는 가운데, 증권가에선 무엇보다 조선업과 해운업을 우선 통폐합 대상으로 보고 있다. 특히 적자가 심각한 빅3 조선사 간 사업 통폐합 논의가 본격화 될 전망이다.

양형모 이베스트투자증권 선임연구원은 “빅3 조선소의 사업 통폐합이 진행되면 경쟁이 완화돼, 가격 경쟁력이 생길수 있다”며“ 특히 해양 플랜트의 통폐합이 이뤄질 경우 적자 산업이라는 오명을 벗을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해양플랜트 통폐합이 진행될 경우 각 사의 해양 사업부를 분할(소규모분할)해 통합, 신설법인을 설립하는 시나리오가 유력하게 제기된다.

특히 증권가에선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의 합병설도 꾸준히 흘러나오고 있다.

헤럴드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실제 일본의 경우 미쓰비시중공업과 히타치제작소가 화력 발전 부문을 분리하여 통합하고, 미쓰비시히타치파워시스템즈라는 회사를 설립한 바 있다.

또한 미쓰비시증공업과 IHI는 항공기엔진 사업을 분할하여 신설법인을 설립했다.

철강업종의 경우도 일본 1위 철강업체인 신일철주금은 1조여원의 자금을 들여 4위 닛신제강을 인수하여 일본은 3사 체제로 재편됐다.

양형모 연구원은 “조선사간의 사업 통폐합 논의가 본격화 될 경우 플랜트가 강한 회사 쪽으로 다른 회사의 플랜트 분야를 몰아주는 방식이 검토될 것”이라고 전했다.

헤럴드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정부는 산업구조 개혁을 천명하며, 기업 구조조정 촉진법(기촉법)과 기업 활력 제고를 위한 특별법(원샷법)을 통해 속도감 있는 구조 조정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신한금융투자는 기촉법과 원샷법은 하반기 주식시장에 중립 이상의 긍정적 이슈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기촉법에 따른 코스피 시장에서 워크아웃 가능성이 있는 상장사 비중을 17.6%로 추정했다. 신용위험 평가의 주요 정량 기준인 최근 3년간 영업현금흐름 적자, 최근 3년간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을 적용한 수치다.

김영환 연구원은 “종목 수는 많으나 대부분 소형주여서 시가총액 비중은 2.3%로 낮다”고 설명했다.

/park@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