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구조조정 대상업종 확대설 ‘솔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금융위 “추가 필요없다” 불구 “공급과잉 여부 등 주시” 여지

금융권 안팎선 ‘전자’ 등 거론

총선 이후 정부가 기업 구조조정 드라이브를 걸면서 규모가 확대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조선·해운·건설·철강·석유화학 등 5대 취약업종 외에 여타 업종도 구조조정이 필요한지에 대해 금융당국이 검토에 착수했다.

금융위원회는 19일 “지난해 수시 신용위험평가 결과와 저유가 영향 등을 감안해 추가로 공급과잉 해소 방안 등을 검토할 필요가 있는 업종이 있는지 여부를 점검하고 있다”면서 “현재까지는 5개 업종 외에 추가로 구조조정을 논의할 필요가 있는 업종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금융위는 다만 “글로벌 산업동향, 공급과잉 여부 등을 지속적으로 지켜보겠다”고 여지를 남겼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추가로 구조조정 대상에 오를 가능성이 있는 분야로 전자, 디스플레이가 거론되고 있다. 금융위가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등 관계부처 실무진과 함께 개최한 ‘구조조정협의체’ 실무회의에서는 전자, 디스플레이 업종을 추가로 선정할지 여부를 논의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기업 신용위험평가에서 전자와 디스플레이 업체들이 구조조정 대상으로 꼽혔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구조조정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구조조정협의체의 움직임에 관련 업계와 금융권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금명간 열리는 3차 회의에서 구조조정 대상 업종을 추가로 선정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주재하고 기재부, 산업부, 국토부, 해수부 차관들이 참석하는 이 협의체는 지난해 10월과 11월 두 차례 열려 조선, 해운, 건설, 철강, 석유화학 등 5개 업종을 취약업종으로 선정했다.

금융당국이 앞서 39개의 주채무계열 기업집단을 선정함에 따라 주채권은행은 다음달 말까지 재무구조평가를 실시한다. 재무구조가 취약한 기업집단과 ‘재무구조개선약정’ 또는 ‘정보제공약정’을 체결한다.

주채권은행의 대기업 신용위험평가는 이달부터 7월까지 진행되며 7월 말에 구조조정 대상 기업이 발표될 예정이다.

<송윤경 기자 kyung@kyunghyang.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