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구조조정 업종, 조선ㆍ해운 등 5개 집중 ‘가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금융위ㆍ정부 협의체 다음주 회의

공급과잉 등 점검해 방향 설정

디스플레이 등 업종은 추가 않기로

한국일보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조선ㆍ해운ㆍ건설ㆍ철강ㆍ석유화학 등 5대 취약업종에 구조조정을 집중하기로 했다. 금융위원회는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등 관련부처와 함께 5대 업종의 글로벌 산업동향, 공급과잉 여부 등을 지속적으로 점검, 기업 구조조정의 방향을 설정한다는 방침이다.

금융위는 임종룡 금융위원장 주재로 내주 중 ‘제3차 산업 경쟁력 강화 및 구조조정 협의체’ 회의를 열어 5대 취약업종의 구조조정 현황을 점검하기로 했다고 19일 밝혔다. 당초 5대 업종 외에 디스플레이 등 2, 3개 업종을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추가하지 않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금융위 관계자는 “지난해 수시 신용위험평가 결과와 최근의 저유가 영향 등 산업별 분석을 토대로 추가로 공급과잉 해소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는 업종이 있는지 살펴봤다”며 “현재까지 5개 업종을 제외하고 추가로 협의체에서 구조조정 방안을 논의할 필요가 있는 업종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총선 이후 정부의 기업 구조조정이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임 위원장이 주재하고 경제 관계부처 차관급이 참여하는 협의체는 기업 구조조정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맡게 될 전망이다. 특히 여기서 제시하는 방안은 구조조정의 핵심 가이드라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회의에서 협의체는 지난해 발표한 5대 취약업종의 구조조정 진행 상황을 재점검하는 한편 상황변화를 반영해 추가 보완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지난해 두 차례에 걸쳐 금융위원장이 주재한 협의체에서 5개 취약업종에 대한 구조조정 원칙과 공급과잉 해소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며 “내주 회의에서도 5개 업종의 구조조정 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계획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채권은행들은 금융권 빚이 많은 주채무계열 39곳 등을 포함한 대기업에 대해 4~6월 중 신용평가를 진행해 7월초 구조조정 대상을 선정하고, 7~10월에는 중소기업 평가를 거쳐 오는 11월 구조조정 대상을 선별한다.

이대혁 기자 selected@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