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정부, 다음주 구조조정 대상산업 추가 선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스플레이 업종등 거론 가능성



정부가 이르면 다음주 중 구조조정이 필요한 대상 산업을 추가로 선정할 전망이다.

19일 정부 부처와 산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이르면 다음주 중 금융위원회 주도로 ‘제3차 산업경쟁력 강화 및 구조조정 협의체’ 회의를 열고 경기민감산업의 구조조정 현황을 점검하고 추가 취약업종 지정을 논의한다.

금융위 관계자는 “이같은 회의가 추진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아직 일정이 확정되지는 않았다”고 확인했다.

헤럴드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 주재로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경제 관계부처 차관급이 참여하는 이 협의체는 기간산업의 경쟁력 강화 및 구조조정 방향을 논의하는 일종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한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11월 제2차 구조조정 협의체 회의를 열고 경기민감산업의 구조조정을 촉진할 수 있는 정책지원 방안을 공개한 바 있다. 당시 정부는 조선ㆍ해운ㆍ건설ㆍ철강ㆍ석유화학 등 을 5대 취약업종으로 선정했다.

범정부 협의체는 이번 회의에서 앞서 발표한 5대 취약업종의 구조조정 진행 상황을 재점검하는 한편 상황변화를 반영해 필요 시 추가 보완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또한 산업별 분석을 토대로 부채비율이 높거나 만성적 공급과잉 등으로 구조조정을 유도할 필요가 있는 업종을 취약업종으로 추가 분류해 채권단 신용위험평가에 참고자료로 활용하게 할 방침이다.

시장에서는 디스플레이 업종 등이 일부 공급과잉을 해소할 필요가 있는 분야로 거론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범정부협의체에서는 산업별 주무부서의 산업정책적 판단 등을 통해 구조조정의 큰 방향만을 제시한다”며 “개별기업 구조조정은 채권단과 기업의 자율적인 협의 아래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채권은행들은 4~6월 중 대기업을 상대로 평가를 진행해 7월초 구조조정 대상을 선정하고, 7~10월에는 중소기업 평가를 거쳐 11월 구조조정 대상을 선별할 예정이다.

김재현 기자 /madpen@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