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해운사, 구조조정 압박에 벙어리 냉가슴…"정책지원 필요" 강조

댓글 8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서울=뉴시스】박대로 기자 = 국내 주요 대형컨테이너선사인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이 정부의 구조조정 압박에 우려를 드러내면서도 후폭풍을 우려해 내색을 하지 못한채 가슴앓이를 하고 있는 모습이다.

다만 이들은 해운산업이 국가전략 및 기간 산업인 만큼 정부의 일방적 구조조정 보다는 정책적 지원을 통해 회생이 이뤄질 수 있도록 배려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직간접으로 꾸준히 피력하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으로부터 구조조정 대상으로 직접 지목을 당한 현대상선은 채권은행들과 자율협약을 맺고 협약 내용에 따라 자구노력을 하고 있는 과정에서 나온 유 장관의 발언에 당혹스러워하고 있다.

실제로 현대상선은 2013년말부터 자구안을 마련해 자산 매각 등을 진행해왔다. 지난달에는 산업은행·수출입은행·기업은행·국민은행·하나은행·우리은행·신용보증기금 등 채권단과 조건부 자율협약을 맺고 올 상반기 안에 경영정상화를 마무리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현대상선은 이달 중 영국·싱가포르 등지의 해외 선사들과의 용선료 인하 협상을 마친 후 6월께 채무 재조정을 위한 사채권자집회를 개최한다는 계획까지 세워놓은 터라 유 장관의 이번 발언에 당황한 기색을 숨기지 못하고 있다.

현대상선만큼 상황이 나쁘진 않지만 한진해운 역시 유 장관의 발언에 상당히 신경을 쓰고 있다. 자체적인 자구안을 이행하고 있는 한진해운도 자칫 전면적인 해운업 구조조정 분위기에 휩쓸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현대상선과 한진해운은 이 같은 정부의 압박에 정면 대응하지는 못하고 있다. 대규모 부채를 지고 있는 산업은행 등에게 불만을 드러낼 경우 불이익을 당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양사는 한국선주협회를 통해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선주협회는 최근 금융위원회와 국회, 해양수산부, 기획재정부, 산업은행 등에 보낸 건의서에서 "우리나라 양대 컨테이너선사는 그동안 해운불황에 따른 유동성 악화로 수익성이 보장되는 LNG선을 비롯해 장기수송계약 체결선박, 컨테이너터미널 등 핵심 영업자산을 매각하는 등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통해 약 5조원의 유동성을 마련하여 버텨 왔다"고 설명했다.

선주협회는 "정부는 회사채시장 안정화방안을 한시적으로 도입해 회사채 차환지원을 통해 유동성을 지원해 주고 있지만 고금리와 단기대여로 지원효과가 크지 않은데다 캠코를 통한 중소선사 지원도 장기수송계약을 맺은 중고선 등으로 제한하고 있어 효과가 반감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 수출입물량의 99% 이상을 수송하고 있는 국가 전략산업이자 기간산업인 해운산업의 재도약을 위해서는 우리나라 양대 컨테이너선사들이 유동성 위기를 조기에 극복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정부와 정책금융기관에서의 적극적인 지원이 그 어느 때 보다도 시급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해상법연구센터소장인 김인현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굴지의 정기선사가 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가게 되면 그 회사가 살아남는다고 해도 다시 현재 속한 국제 해운동맹에 들어가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동맹선사들 사이에서 신뢰가 깨트려졌기 때문에 회원사로 다시 넣어주지도 않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최근 우리나라 외항 정기선사가 어려움을 겪는 것은 전 세계적인 물동량 감소와 신조선으로 인한 공급과잉으로 인한 바닥권인 운임 폭락이라는 예측이 불가한 외생변수의 문제이므로 정부와 관련 경제주체들이 이들 정기선사를 도와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daero@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