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금융당국, 기업 구조조정 '고삐'…고강도 대기업 신용위험평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정부·금융당국 기업구조조정 박차…유일호 경제부총리도 나서

진웅섭 금감원장 "채권 은행들 타이밍 놓치지 말라"
금감원, 이달부터 7월까지 대기업 대상 신용위험평가 진행

【서울=뉴시스】남빛나라 기자 = 정부가 기업 구조조정을 가속화할 방침임을 천명한 가운데 금융당국도 기업 구조조정의 고삐를 바짝 죄고 나섰다.

진웅섭 금융감독원 원장은 18일 신한·우리·KEB하나·KB국민·NH농협 등 9개 은행의 행장이 참석한 은행장 간담회를 열고 기업 구조조정이 원활하게 추진돼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부실기업의 채권자인 금융회사를 향해 구조조정 업무에 협조해 달라고 당부한 것이다.

정부와 금융당국이 신속한 기업 구조조정을 촉구하고 나선 것은 이날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한국 은행권 전반의 신용등급을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하는 등 한국 경제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진 원장은 "채권 은행들이 타이밍을 놓치지 말고 원칙에 따라 과감하고 신속하게 구조조정을 추진해 달라"고 주문했다.

앞서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7일 주요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가 열린 미국 워싱턴 D.C.에서 기자들을 만나 "이미 (기업 구조조정의) 컨틴전시 플랜(비상계획)은 세워놨는데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만큼 빨리 해야 한다. 직접 챙기겠다"고 말한 바 있다.

유 부총리는 "현대상선이 가장 걱정"이라며 특정 기업의 이름을 거론하는 등 기업 구조조정에 드라이브를 걸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미 금감원은 지난 12일 지난해 금융기관에서 대출받은 금액이 1조3581억원 이상인 계열을 대상으로 39곳의 주채무계열(계열사 4443곳)을 발표했다.

주채무계열로 선정된 39개 대기업 계열은 5월말까지 담당 주채권은행의 재무구조평가를 받아야 한다.

금감원은 또 관리대상으로 지목되거나 재무구조가 악화된 계열에 대해서는 수시평가를 진행할 방침이다.

아울러 금감원은 이달부터 7월까지 대기업을 대상으로, 7월부터 10월까지는 중소기업에 대해 신용위험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대기업 신용위험평가는 평가 대상이 확대, 기존의 평가보다 강화된 기준이 적용된다. 기존에는 영업활동 현금흐름과 이자보상배율 등을 평가했다. 이번에는 완전자본잠식 기업과 취약 업종 기업 등도 추가된다.

특히 세부평가의 경우 경기변동 민감도와 성장전망 등도 반영, 전망이 어두운 기업들도 구조조정 대상이 될 수 있다.

이는 지난달 18일 '신(新) 기업구조조정촉진법'(기촉법)이 시행된 이후 최초로 진행되는 대기업 신용위험평가다.

기촉법은 부실기업의 채무구조를 개선하는 워크아웃의 적용대상을 대기업에서 금융권 대출액 30억원 이상의 중소기업으로 확대한 것이 골자다. 채권자와 부실기업이 자발적으로 협약해 채무에 대한 신속한 구조조정 작업에 돌입도록 규정했다.

이에 대해 진 원장은 "기촉법 시행 이후 최초로 진행되는 대기업 신용위험평가에서 만성적인 한계기업이나 경영개선계획을 이행하지 않은 기업 등에 대해 엄정한 평가를 해달라"고 강조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달부터 평가대상 기업을 선정하는 작업에 돌입했다"며 "신 기촉법에서 추가된 이의제기 기간을 포함하면 선정결과는 7월 중하순쯤 나올 예정"이라고 밝혔다.

south@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