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기업구조조정 대상 7월 선정…'반도체'도 취약업종 분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유일호 장관 "기업구조조정 직접 챙길 것"

CBS노컷뉴스 양승진 기자

20대 총선이 마무리 됨에 따라 금융당국이 추진하는 기업 구조조정의 새 판이 짜여지고 있다.

금융감독원과 채권은행들은 지난주 금융권 빚이 많은 39개의 주채무계열 기업집단을 선정하며 올해 기업 구조조정 작업을 본격화했다.

정부는 범정부 차원의 구조조정 컨트롤타워인 구조조정 협의체를 이르면 이달 중에 다시 운영할 방침이다.

G20 재무장관회의 참석차 미국 워싱턴DC에 머문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5일(현지시간) 기자들과 만나 "기업 구조조정 문제를 직접 챙기겠다"고 밝혔다.

(올 연말까지가 기업 구조조정의 최적기)

정부가 물밑으로 가라앉았던 기업 구조조정을 다시 강조하고 있는 것은 올해 연말까지 남은 8개월이 구조조정의 ‘골든타임’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내년 대통령선거 국면에 돌입하면 대대적 감원 등이 몰고 올 수 있는 후폭풍을 정치권이 떠안으려 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정부에선 ‘회생 가능성’을 지표로 가능성이 있는 곳은 지원을 할 방침이지만 그렇지 못한 곳에 대해선 신속히 정리하겠다는 입장이다.

8월 중순부터 실시될 ‘기업활력제고특별법’, 이른바 원샷법으로 이들 기업들에 대한 구조조정 작업은 보다 신속히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반도체 등 추가 취약업종 선정할 수도)

정부는 지난해 구조조정협의체를 통해 조선, 해운, 건설, 철강, 석유화학 등 5대 업종을 취약업종으로 분류한 바 있다.

금융당국은 다시 가동되는 구조조정 협의체에서 1~2개 업종을 취약업종에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시장에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제외하고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반도체 등이 거론되고 있다.

금융당국은 늦어도 7월 말에는 대기업 구조조정 대상 기업을 선정하고 10월까지는 중소기업에 대한 신용위험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은 18일 9개 시중은행장들을 소집해 기업 구조조정 등 은행권이 당면한 현안과 관련한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앞서 진 원장은 은행권의 과감한 구조조정 지원과 신속한 부실채권 처리를 당부한 바 있다.

금융당국은 평가 기준을 강화해 예년보다 강력한 구조조정을 단행한다는 방침이어서 올해 좀비기업을 얼마나 솎아낼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www.nocu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