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최소한 내년 5월까지 가뭄"...겉도는 가뭄 대책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전국적으로 가뭄이 비상인 가운데 기상 전문가들은 최소한 내년 봄까지는 이 같은 가뭄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하지만 가뭄에 대응할 정부의 '컨트롤 타워'가 없어 가뭄 대책이 겉돌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김용섭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올해는 비다운 비가 없었습니다.

올 들어 이달 중순까지 전국의 누적 강수량은 760 밀리미터로 예년 평균의 60%를 겨우 넘겼습니다.

42년 만의 최악의 가뭄입니다.

문제는 내년 봄까지도 비가 많이 올 것 같지는 않습니다.

우리나라의 강수량은 보통 6월과 8월 사이에 집중됩니다.

실제로 지난 30년 동안 10월에서 이듬해 5월까지 8개월 평균강수량은 6월에서 9월까지 4개월간 평균 강수량의 절반 수준에 불과합니다.

따라서 내년 6월까지 평균 수준의 비가 내리더라도 가뭄을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입니다.

하지만 정부의 가뭄 극복 대책은 여전히 겉돌고 있습니다.

수자원의 관리주체가 용도별로 나눠져 있어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없습니다.

현재 광역 상수도와 공업용수는 국토부, 농업용수는 농림부, 지방상수도는 환경부가 각각 관리하고 있습니다.

또 지방 소하천 관리는 행자부가, 가뭄 등 재난 대응은 국민안전처가 맡고 있습니다.

이처럼 여러 부처에 권한이 분산돼 있다 보니 통합적인 수자원 관리가 힘듭니다.

이 때문에 관할 업무가 아니면 각 부처들이 손을 놓고 있는 게 현실입니다.

가뭄 초기부터 용수의 공급과 배분을 조정할 컨트롤 타워가 없기 때문에 효과적인 대응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정부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달 각 부처들의 수자원 정책을 조정하는 물관리 협의회를 총리실에 설치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강제성이 없는 협의 수준의 기구로는 일상화된 가뭄에 대처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YTN 김용섭[yoskim@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