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2015국감]복지위, 메르스 사태 국립중앙의료원 역할 추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시스】박세희 기자 = 17일 열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지난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 당시 중앙거점의료기관으로 지정됐던 국립중앙의료원의 역할이 이슈로 떠올랐다.

특히 복지위 여야 의원들은 국립중앙의료원 역할과 함께 감염병 치료시설 부족과 관련 장비 부족 문제 등을 집중 질타했다.

복지위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국립중앙의료원과 한국보건의료연구원,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등을 대상으로 국정감사를 실시했다.

복지위 여당 간사인 새누리당 이명수 의원은 "감염병 대응에 있어 최후의 보루였던 국립중앙의료원이 제대로 된 음압수술실 하나조차 갖추지 못한 것은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고 지적하며 "감염환자의 동선 분리를 위한 전용승강기 설치, 비상시 전병실의 기능전환을 위한 시설개보수 등 추가적인 시설보완 대책마련도 시급하다"고 밝혔다.

같은 당 문정림 의원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을 향해 "당초 2015년 감염질환분야 R&D 지원 예산은 215억원 수준이었으나, 메르스 사태 이후에서야 추경 예산을 통해 약 100억원이 증액됐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친 격"이라며 "관련 예산이 충분히 확보됐더라면 이번 메르스 사태에서 보다 효율적인 수습과 대처가 가능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의원은 "메르스로 인해 36명이 목숨을 잃었다. 환자 관리가 잘 됐으면 희생을 줄였을 것"이라며 "25명 중 11명이 인공호흡기조차 못 썼다는 것을 지적한 바 있다. (조치가) 더욱 빨랐으면 (희생을) 줄였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같은 당 양승조 의원은 "최근 5년간 국립중앙의료원이 법정감염병을 제때 신고하지 않은 건수가 80건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번 메르스 사태 때도 4건의 신고 지연이 발생하는 등 감염병 신고체계가 부실했단 사실이 여실히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saysaysay@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