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메르스 증인 채택 두고 여야 격돌, 야당 “청와대 불러라”, 여당 “부를 필요 없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정감사 첫날인 1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국감’에 청와대 전·현직 담당자를 증인으로 부르는 문제를 두고 여야가 격돌하면서 신경전이 벌어졌다.

이날 정부세종청사 보건복지부 대회의실에서 열린 국감은 야당 의원들이 오는 21일 열리는 메르스 국감에 최원영 전 청와대 고용복지수석과 김진수 청와대 고용복지비서관을 증인으로 채택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1시간 가까이 지연됐다.

새정치민주연합 남인순 의원은 “두 사람은 정부가 메르스 사태에 제대로 대처했는지 파악할 가장 중요한 증인이다. 그런 부분을 국민들이 알고 싶어한다”면서 “이 문제를 논의한 후에 국정감사를 진행해야 한다”고 포문을 열었다. 같은 당 이목희 의원은 청와대 인사를 국감에 부르기 시작하면 여러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새누리당의 우려는 이해한다면서 “그러나 메르스 사태는 일반적인 상황이 아니라 국민들을 공포와 불안으로 몰아넣은 큰 사건이다. 예외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같은 당 최동익 의원도 “최원영 수석은 전직 청와대 인사이고, 본인이 언론에 ‘병원명단 공개는 대통령의 지시사항이 아니다’라고 인터뷰를 했기 때문에, 증인 출석 요구가 합리적이라 생각한다”고 거들었다.

새누리당 의원들은 반발했다. 김기선 의원은 “메르스 외에도 중요한 현안들이 많다. 청와대에 대해선 운영위에서 얼마든지 제기할 기회가 있다”고 말했다. 문정림 의원은 “메르스 특위에서 초기대응에 뭐가 문제였고 누가 잘못했는지는 충분히 밝혔다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명연 의원은 “국감이 10시에 시작돼야 하는데 증인 문제로 늦어지고 있다”면서 “여기서 합의 안받아들여지면 국감 안할 겁니까. 난 이해가 안간다”라고 비판했다

논란에 대한 해결책도 여야가 엇갈렸다. 남인순 의원은 “합의가 안됐으니 정회해서라도 이 문제를 매듭짓고 국감을 시작하자”고 한 반면, 새누리당 김정록 의원은 “간사가 점심과 저녁 먹으면서 합의하면 될 일”이라며 “일단 국감을 시작하자”고 반박했다.

결국 김춘진 위원장이 “양 간사 간 증인채택 협의를 위해 정회를 선포한다”고 하자, 김정록 의원이 “왜 내 의견은 반영되지 않느냐”고 항의하기도 했다.

<조미덥 기자 zorro@kyunghyang.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