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메르스 충격에 여행수지 7년만에 최대 적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의 여파로 외국인 관광객이 급감하면서 지난 7월 여행수지가 7년 만에 가장 큰 규모의 적자를 냈다. 외국인 투자자 이탈이 이어지면서 증권투자 유출초 규모는 1년 반 만에 최대 규모로 커졌다. 경상수지 흑자는 수출보다 수입이 더 많이 감소하면서 101억1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해 41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7월 국제수지(잠정치)를 보면 지난 7월 여행수지는 14억5000만 달러 적자를 나타내 2008년 7월(16억5000만 달러 적자) 이후 적자 규모가 가장 컸다. 여행수지 적자는 5월만 해도 4억1000만달러 수준이었으나 메르스 사태로 6월엔 10억4000만달러로 악화됐고, 7월 들어서는 적자 폭을 키웠다. 한은은 지난해 7월 135만5000명이었던 입국자수가 올해 7월에는 63만명으로 53.5% 감소했다고 밝혔다.

여행수지 적자의 확대는 내국인이 국외에서 사용한 돈이 외국인 관광객과 유학생이 국내에서 지출한 돈보다 늘었다는 의미다.

상품·서비스 거래가 없는 자본 유출입을 보여주는 금융계정의 유출초(자본이 국외로 나간 것) 규모는 106억4000만달러로 전달(104억9000만달러)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다만, 증권투자의 유출초 규모는 내국인의 해외증권투자 축소에도 불구하고 외국인 증권투자의 순유출 규모가 확대되면서 전월 65억달러에서 7월 71억5000만달러로 확대됐다.

7월 경상수지 흑자는 101억1천만 달러를 기록, 41개월째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상품수지 흑자 규모는 6월 131억4000만달러에서 108억6000만달러로 줄었고, 서비스수지 적자 규모는 25억 달러에서 19억2000만달러로 줄었다. 박승환 한은 금융통계부장은 “국제유가하락으로 석유제품 수출 감소, 해외수요 부진, 가전·디스플레이패털 등 수출 주력품목의 부진 등으로 상품수출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윤주 기자 runyj@kyunghyang.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