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중미·카리브해 엘니뇨 영향 가뭄 피해 심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지난 7월 온두라스 수도 테구시갈파에서 동남쪽으로 100km 떨어진 텍시콰트에서 한 여성이 물을 길러 집으로 가고 있다.(AFP=연합뉴스DB)


(멕시코시티=연합뉴스) 이동경 기자 = 중미·카리브해 지역의 농가와 가족 등 160여만 명이 엘 니뇨 현상에 따른 가뭄 피해를 겪고 있다고 중남미 뉴스를 전하는 텔레수르가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특히 과테말라에서는 농작물이 고사하면서 100만 명이 식량난에 노출되는가 하면 가축 수천 마리가 폐사한 온두라스에서는 10개 지역에 식량 비상사태가 선포된 상황이라고 텔레수르는 전했다.

푸에르토리코 수도 산후안과 북부 해안 지역에서는 1주일에 2차례의 제한 급수가 이뤄지고 있다.

중미·카리브해 농업장관은 20일 엘살바도르의 수도 산살바도르에 모여 엘니뇨 피해에 따른 대책 마련을 논의했다.

장관들은 과거 어느 때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책을 마련해 농작물과 가축 등에 피해를 본 지역을 지원하는 한편, 국제사회의 공조를 요청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또 엘니뇨 현상에 대처하기 위한 정책을 각국이 입안할 필요도 있다는데 의견을 함께했다.

오레스테스 오르테스 엘살바도르 농업장관은 "향후 피해가 더욱 확산할 것을 우려해 즉각적으로 국제사회에 도움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미겔 바레토 세계식량계획(WFP) 중남미 지부장과 아그나시오 리베라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조정관은 공동 성명을 내고 "국제사회가 가뭄으로 피해를 보는 중미 국가에 장단기적인 지원을 우선으로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중미 지역은 지리적인 특성상 매년 기후 변화와 엘니뇨에 따른 가뭄에 크게 노출돼 주요 작물인 옥수수, 콩, 쌀 등의 재배에 피해를 보고 있다.

hopema@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