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메르스피해 고용유지지원금 신청 절반 이상이 '여행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역별로 서울 56.9%, 규모별로 30인 미만 업체 86.2%

뉴스1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피해 지원금 신청 기업 중 절반 이상이 여행업계로 나타났다. 사진은 메르스 여파가 한창이던 지난달 21일 오후 서울 강서구 김포국제공항 출국장의 한산한 모습. © News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뉴스1) 한종수 기자 = 서울 중심가에 있는 A여행사는 중견업체로서 매년 순탄한 해외 여행객 유치실적을 보였으나 메르스(MERS) 사태 이후 여행객 수가 전년대비 75%나 급감하는 등 최대의 경영위기를 맞았다.

A사는 위기 극복을 위해 직원들에 대한 고용조정을 심각히 고민하던 차에 근로자를 해고하기보다 휴업이나 휴직을 시켜 고용을 유지하는 경우 고용노동부로부터 지원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A사는 서울지방노동청에 계획서를 제출한 후 70여명의 직원 중 15명에게 수당을 지급한 후 휴직을 시키는 한편, 근무시간도 주 4일로 줄이면서 결국 단 한명의 근로자 해고 없이 위기상황을 극복할 수 있었다.

정부가 지난 28일 사실상 메르스 종식을 선언한 가운데 그간 어려운 경영여건 속에서도 메르스 극복에 기여한 '고용유지지원금'이 주목받고 있다.

고용유지지원금은 생산량·매출액 감소 등에 따라 고용조정이 불가피하게 된 사업주가 근로자를 감원하지 않고 일시 휴업이나 휴직 등으로 고용유지 조치를 한 경우 임금(수당)이나 훈련비를 국가에서 지원하는 제도이다.

30일 서울노동청에 따르면 이달 27일 기준 메르스로 인한 고용유지지원금 신청 업체는 총 524곳(4974명)이다. 업종별로는 여행업이 286곳(54.6%)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도소매업(84곳·16.0%), 음식·숙박업(72곳·13.7%), 병·의원(22곳·4.1%)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서울지역이 298곳(56.9%)으로 가장 많았고 경인지역(19.1%), 광주·전남(14.5%), 대전·충남(3.2%), 부산·경남(3.2%)이 뒤를 이었다. 규모별로는 30인 미만 업체가 452곳(86.2%)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정형우 노동시장정책관은 "경영상 어려움이 오더라도 사업주들이 앞으로 고용유지지원제도를 적극 활용해 근로자를 감원하지 않고 고용을 유지하면서 부담을 덜고 경영 위기를 극복해 나가기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jepoo@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