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메르스 종식]②70일만에 사실상 종식…메르스, 무엇을 남겼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공식 종식선언은 내달 하순 이후 예상

【서울=뉴시스】변해정 기자 = 정부가 28일 사실상의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종식을 선언했다.

지난 5월20일 국내 첫 메르스 환자가 발생한 지 70일 만이다.

정부의 이 같은 결정은 신규 확진자가 지난 4일 이후 23일째 발생하지 않고 있는데다, 176번 확진자(51)를 돌보다 노출됐던 마지막 자가격리자도 지난 27일 0시에 기해 격리에서 풀려나 더이상 메르스에 대한 우려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다만 아직도 12명의 환자가 치료 중이며, 이중 1명은 아직 메르스 바이러스 검사에서 양성 반응이 나오는 상태다.

따라서 공식적인 메르스 종식 선언은 일러야 8월 하순께 가능할 전망이다. 양성 반응을 나타내는 유일한 환자가 2회 연속 음성 판정을 받아 완쾌하는 날로부터 28일(최대 잠복기의 2배)이 지난 시점이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메르스 종식의 기준인 탓이다. 우리 정부는 WHO가 권고하는 국제 기준을 따르기로 했다.

메르스 사태는 중동에 다녀온 최초 환자(68)와 그를 간호한 부인(63·2번 환자)이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시작됐다.

하지만 보건당국의 오판과 뒤늦은 정보 공개로 초기 방역에 실패했고, 계속된 부처 간 엇박자는 사태를 수습하기는 커녕 혼선만 키웠다.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의료 체계는 공중보건 측면에서 바이러스 확산 거점으로 전락했다. 삼성서울병원은 급기야 부분폐쇄라는 초유의 고육책을 쓰는 지경에 몰렸다.

그 사이 환자는 186명으로 불어났고, 36명(19.4%)의 생명까지 앗아가 우리 사회는 큰 충격에 빠졌다. 정치·경제·외교·국방·문화 전 분야에 걸쳐 치명타도 입었다.

메르스 사태를 수습하는 데는 의료진의 희생이 컸다. 감염 위험을 무릅쓰고 70일간 메르스와 사투를 벌였다.

일부 국민의 모럴해저드는 신종 감염병의 공포 확산에 불을 지피기도 했지만, 결국 메르스 고비를 넘길 수 있었던 것은 많은 시민의 협조가 있기에 가능했다.

이제 감염 후진국의 오명을 벗는 것은 정부의 몫이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감염병 시스템을 개선하고, 보건의료 주무부처의 전문성을 키워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하지만 잘못에 대한 책임 추궁과 반성 없는 조직 개편은 무의미하다. 무엇이 잘못됐으며, 그 잘못이 어디에서 비롯됐는지부터 명확히 규명해야 한다는 얘기다.

제2의 메르스 사태는 또 일어날 수 있다. 미리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지만, 어떻게 수습할 지도 이번 사태를 통해 얻은 교훈이다. 경제에 극심한 충격을 미치고 국가적 위기를 자초하는 일이 되풀이되지 않으려면 소모적인 공방과 과민 반응만 지양해야 한다.

메르스가 남긴 엄청난 사회적 손실을 우리는 돈(추경 예산)으로 때우고 있다.

대한감염학회 김우주 이사장은 "메르스의 실패에서 배운 교훈을 통해 환골탈태 수준으로 새 방역 체계를 꾸려야 한다"며 "세계 수준의 신종 감염병 전문 인력을 영입하는 등 시스템이 갖춰지면 이번 메르스로 인한 피해가 조금이라도 보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hjpyun@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