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복지부 "메르스 종식 관련 WHO 기준·향후 정부대책 논의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서울=뉴시스】장민성 기자 = MERS(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마지막 자가격리자가 27일 오전 0시 격리 해제된 가운데 장옥주 보건복지부 차관은 "메르스 종식과 관련해 WHO(세계보건기구) 기준을 논의하고 향후 정부가 검토해야 할 감염병 방지 대책과 방향 등에 대해 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장 차관은 이날 오전 7시30분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메르스 민관 종합대응 TF'(공동본부장 보건복지부 장관·대한감염학회 이사장) 제4차 회의에 참석해 "메르스 신규환자가 지난 6일 이후 21일째 발생하지 않고 있고 격리도 모두 해제됐다"며 이 같이 밝혔다.

장 차관은 "정부와 민간 전문가들의 지속적인 노력과 함께 국회에서도 감염병 예방법이 논의되고 메르스 사태에 따른 예비비도 집행되는 등 후속 조치도 이뤄지고 있다"며 "이 같은 논의와 조치는 향후 국가방역체계 개선의 자양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공동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우주 대한감염학회 이사장도 "(오늘이) 종식 선언까지 경각심을 갖고 후속 대책을 논의하기 위한 적절한 시점"이라며 "이번 교훈을 바탕으로 다시는 감염병 발생으로 국가적 혼란을 겪지 않도록 튼튼한 방역체계를 완비하고 신종 감염병에 대한 예방과 조기 발견, 조기 대응 등 완벽한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보건당국과 민간 전문가들은 메르스 종식 기준과 종식 선언 방식, 재발 방지 대책 등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대한의사협회, 대한병원협회, 대한간호협회 등 현장전문가와 대한감염학회 등 각 학회 및 민간 전문가 등도 참석했다.

메르스 민관 종합대응 TF는 이날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메르스 종식 기준과 종식 선언 방식 등과 관련한 의견을 국무총리 주재 메르스 대응 범정부 대책회의에 전달할 예정이다.

정부는 오는 28일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범정부 대책회의를 연 뒤 '일상생활로 돌아가도 좋겠다'는 취지의 내용과 향후 대책 등이 담긴 대국민 메시지를 발표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정부의 대국민 메시지가 공식적인 메르스 종식 선언은 아니다. 앞서 WHO는 마지막 환자 완치일로부터 28일 뒤(최대 잠복기의 2배) 메르스 종식을 공식 선언할 것을 한국 정부에 권고했다.

아직 유전자 검사에서 음성 판정을 받지 못한 환자 1명이 남아 있어 다음달 하순께 공식 종식 선언이 가능할 전망이다.

nlight@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