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소비심리, 메르스에서 벗어나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달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충격으로 급격히 위축됐던 소비심리가 이달 들어 소폭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7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이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0으로 집계돼 전월 대비 1포인트 상승하면서 기준선(2003∼2014년 장기평균치 = 100)을 회복했다.

이달 지수는 전월 보다 약간 상승했지만 전달(99)을 제외하면 2012년 12월(98)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이어서 소비심리가 메르스 충격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

매달 중순께 전국 2,200가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해 산출하는 CCSI는 100보다 낮으면 앞으로 상황이 악화될 것으로 보는 가구가 많다는 의미다.

부문별로는 현재의 생활형편이나 경기판단을 보여주는 지수가 6월에 이어 두 달째 하락한 반면 전망을 나타내는 지수들은 상승했다.

현재생활형편 지수는 89로 전달보다 1포인트 떨어지면서 지난 2월(89) 이후 5개월 만에 다시 80선대로 내려앉았다.

현재경기판단 지수는 전달 65에서 7월 63으로 내려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3월(34) 이후 6년 4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가계부채전망 지수는 전달보다 2포인트 내린 98이었고 현재가계저축 지수와 주택가격전망 지수는 각각 87, 119로 전달보다 1포인트씩 떨어졌다.

소비지출전망 지수는 전달과 같은 105를 유지했다. 반면 생활형편전망 지수와 가계수입전망 지수는 각각 전달보다 3포인트, 2포인트씩 올랐고 향후경기전망 지수는 6월 79에서 이달엔 86으로 7포인트나 상승했다.

취업기회전망 지수와 금리수준전망 지수도 전달보다 각각 4포인트, 6포인트 올랐다. 앞으로 1년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을 나타내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6%로 6월보다 0.1%포인트 상승하면서 작년 4월 이후 15개월 만에 오름세로 돌아섰다.

지난 1년간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는 물가인식은 2.5%로 전달과 같았다.

앞으로 1년 동안 소비자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 주요 품목으로는 공공요금이 63.2%로 가장 많았고 집세(41.8%), 공업제품(32.7%) 등의 순이었다. 이훈성기자 hs0213@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