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참여연대 “메르스 비극은 정부의 극단적 비밀주의 때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의 극단적 비밀주의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산 사태를 불렀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시민사회단체 참여연대는 22일 ‘알 권리 침해로 발생한 메르스 비극: 누가 이 죽음을 책임져야 하는가?’라는 자료를 통해 메르스 진행 과정에서 관련 정보 공개를 거부한 청와대 및 보건복지부 관계자들의 발언을 소개했다.

우선 메르스 첫 확진환자에 대한 언론보도가 나온 5월20일 이후 메르스가 확산되며 병원이름 공개에 대한 여론이 들끓자 같은 달 29일 권준욱 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해당 병원 의료진을 모두 격리했고 인근 공공 의료기관 동원해 안전하게 환자들 전원 조치했다. 현 상황에서 병원을 공개하기 곤란하다”고 말했다. 이후 권덕철 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과 문형표 장관은 연달아 메르스 확진자가 발생하거나 들른 병원을 공개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6월 들어서도 메르스 확산세가 멈추지 않으면서 불안감에 떠는 시민들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부정확한 메르스 확진자 발생 병원 명단을 공유하는 등 정보공개의 필요성은 더욱 커졌다. 하지만 박근혜 대통령은 6월3일 메르스 긴급 상황점검회의에서 “국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정확한 정보의 투명한 공개”라면서도 병원 이름은 공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현정택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은 한술 더 떠 “병원을 전부 공개하면 앞으로 치료를 할 수 없다”고 엄포를 놓기도 했다.

병원 공개는 이튿날 박원순 서울시장이 긴급 브리핑을 열고 메르스에 감염된 삼성서울병원 의사의 동선과 행적을 알리고 나서야 이뤄졌다.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는 “정부가 메르스 발생 병원을 숨긴 17일 동안 첫 번째 환자와 같은 시기에 평택 성모병원에 입원했던 14ㆍ16번 환자가 병원 이름을 알았더라면 이들을 통해 감염된 환자 27명이 사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참여연대 관계자는 “정부의 극단적인 비밀주의는 메르스 전염 및 공포가 세계에 유례없이 퍼지는데 일조했고 결과적으로 국민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안아람기자 oneshot@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