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메르스 확진자 35%는 환자 가족…보호자 상주 간호문화 바꿔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회 토론회…"간호사 늘리고 '포괄간호서비스'로 간병인력 공식화해야"

뉴스1

삼성서울병원의 부분폐쇄가 해제된 지난 20일 오전 서울 강남구 일원동 삼성서울병원에서 환자 및 방문객들이 체온 측정 및 방문 목적을 기록하고 있다. © News1 손형주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류보람 기자 =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과 같은 신종 감염성 질병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보호자와 간병인이 병실에 상주하며 간호하는 관행을 바꾸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메르스 사태에서 본 병원간병 문제, 이대로 둘 수 없다'라는 주제로 열린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이와 같이 지적했다.

이상윤 건강과대안 연구위원은 "이번 메르스 사태를 통해 확인된 바와 같이 병원 감염의 주된 경로 중 하나는 환자와 보호자, 의료진 간의 상호 감염"이라며 "효과적 감염 관리를 위해서는 병실에 보호자나 비공식 인력이 상주하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 위원은 "병동이나 병실에 보호자와 비공식 간병인이 있으면 추적 관찰하고 조사해야 할 대상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 방역에 많은 시간이 필요해진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국 병동의 간호사 한 명이 담당하는 환자 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의 3~4배로 최대 20명에 이른다"며 "비공식 인력인 간병인과 일반인인 보호자가 간호 업무를 떠맡아 감염 발생 위험이 더욱 늘고 있다"고 보았다.

조성현 서울대 간호대학 교수 역시 "보건복지부 발표에 따르면 메르스 확진자 186명 중 환자 가족과 방문객이 35%에 이른다"며 효과적인 병원 감염 관리를 위해서는 비공식 간호인력이 상주하는 문화를 바꿀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조 교수는 "간호인력 부족으로 인해 환자는 24시간을 누워 있지만 간호사로부터 직접 간호를 받을 수 있는 시간은 하루 1시간도 채 되지 않는다"며 "보호자와 간병인이 상주하지 않으면 환자 간호가 불가능한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참석자들은 각 병원이 간호사와 간호보조 인력으로 구성된 포괄간호서비스 도입을 통해 간호문화 개선을 실행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다만 보조 인력의 경우 제한적인 업무만을 수행하도록 선을 긋는 규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위원은 "100% 간호사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비용 등의 문제로 현실적으로 어렵지만 최소 80% 이상은 간호사로 팀을 구성하고 보조인력의 비율은 20% 이하로 한정해야 한다"며 "보조인력은 기본적인 환자의 일상생활을 돕거나 병실 관리와 같은 한정적인 업무를 수행하도록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곽월희 대한간호협회 부회장은 "보호자가 상주하는 간병문화는 결국 간호사의 적절한 배치가 부족해 발생한다"며 "단순한 급여 인상이 아닌 지역 병원에 통근버스를 지원하거나 남자간호사 확보를 위해 병역으로 복무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는 등 경력이 있는 간호사들이 오래 현장에 머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이날 보건복지부 측 토론자로 참석한 조승아 사무관은 "올해 1월부터 도입한 '포괄간호서비스' 수가 사업이 지난 6월 수가를 올리면서 20여개 병원이 추가로 참여를 신청한 상태"라며 "야간전담간호사 채용이나 출산 등으로 경력이 단절된 경력직 간호사들의 재교육 등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padeok@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