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0 (목)

안심전환대출이 전부? 2%대 주택 아파트담보대출 전환 타이밍!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포츠서울

‘안심전환대출이 전부? 그만큼 좋은 최저2%대 주택 아파트담보대출 전환해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가 시중금리에 반영되기 시작하면서, 주택담보대출 적용 금리는 현재 안심전환대출 금리 수준인 2.6%로 하향됐다. 안심전환대출이 인기리에 마무리된데 이어, 기준금리의 시중금리 반영까지 겹치면서 아파트담보대출 상품을 금리가 더 낮은 것으로 전환해 이자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됐다. 주택 아파트담보대출을 새로 받으려 한다면, 금리가 새로 하락하는 시점에 맞추어 최저금리로 대출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노려볼만하다.

최저금리를 찾기 위한 가장 간편한 방법은 금리비교 사이트 이용이다. 일반 고객이 자신의 상황에 꼭 들어맞는 금융상품과 대출조건 및 거래 금융사를 선택하기는 쉽지 않다는데 그 이유가 있다. 현재 은행권별로 다채로운 대출 상품이 출시돼 있으며, 대출 기준금리·가산금리·우대할인금리 등 조건이 지점에 따라 제각기 다르다. 기존에 거래가 전혀 없던 금융사라도, 조건에 따라서는 최저금리로 아파트담보대출을 이용할 수 있는 곳도 많아졌다. 문제는 이러한 세부 정보를 개인이 일일이 챙기기가 힘들다는 점이다. 그래서 어떤 이는 최저금리 대출을 제공하는 금융기관을 쉽게 찾아 아파트담보대출 갈아타기에 성공하여 해마다 수백만 원에 이르는 이자 절감 효과를 누리지만, 그러지 못하는 경우가 훨씬 더 많은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 주는 것이, 은행별 주택·아파트담보대출 금리비교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해 고객의 비용과 시간을 절약시켜 주는 금리비교 사이트다. 주택·아파트담보대출 금리비교 사이트 ‘뱅크멤버스’(www.bankm.co.kr, 전화1670-1665) 최서윤 대표는 “급변하는 금융환경 속에서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인해 불편을 느끼는 고객님에게 정확한 금융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금리비교 사이트의 핵심 가치다. 전 금융권 금리비교를 통해 아파트담보대출이 필요한 분들에게 최적의 상품과 최저금리를 무료로 안내해드리며, 개인정보 유출이나 불법중개수수료는 원천적으로 방지된다”고 설명했다.

금리비교 사이트에서는 금일 최저금리를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으며, 아파트담보대출금리 이외에도 아파트 분양·매매잔금대출 금리, 주택·일반부동산 담보대출 금리, 아파트·주택 전세자금대출 금리를 일목요연하게 비교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고객센터에 상주하는 전문상담원이 고객 개개인의 상황에 맞는 최적의 조건을 찾아 최저금리 대출을 받을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주기도 한다. 전국 금융기관의 최고·최저 대출한도, 중도상환수수료 등도 무료로 알아볼 수 있는데, 이는 뱅크멤버스가 2004년부터 금리비교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축적한 데이터를 통해 가능하다.

최서윤 대표는 “금융시장에서의 초저금리 분위기에 맞추어 일부 은행들이 지난 상반기에 대출목표액을 맞추려 우대금리특별판매를 실시한 바 있다. 기존에 주택이나 아파트담보대출을 이용 중이던 사람들 중에 금리비교 관련 정보를 잘 알던 경우는 최저금리를 제시하는 금융기관으로 갈아타기를 해서 대출이자를 많이 줄일 수 있었지만, 그 반대의 경우는 주거래은행과 아무리 오랜 기간 거래를 했더라고 이자 절감 혜택을 보지 못한 것이 현실”이라면서 “모든 서비스가 무료이면서, 클릭 한 번으로 다양한 금리비교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금리비교서비스를 이용하면 상담신청 후 30분 내로 혜택을 얻을 방안을 알게 된다. 그러지 않고 직접 금융사를 방문하려면 하루 이상 시간을 내지 않고는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특히, 2차 접수까지 마감된 안심전환대출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은행별 우대금리 비교를 통한 최저금리 확인의 중요성이 더 커진다. 안심전환대출이 아니어도 최저 2%대의 대출금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온라인뉴스팀 news@sportsseoul.com>

[기분좋은 신문 스포츠서울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공식 페이스북 / 트위터]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news@sportsseoul.com]

-Copyrights ⓒ 스포츠서울 & sportsseoul.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