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안심대출 리스크 관리 나선 제2금융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 중반대 저금리로 대출이자 부담을 줄여주는 안심전환대출 신청이 마감되면서 카드·보험 등 제2금융권이 대출 리스크 관리에 더욱 주력하고 있다. 제2금융권으로의 추가 대출이나 연체율 증가 등에 대비한 것으로, 대출 한도를 소폭 조정하면서 대출 대상 심사에 보다 신중을 기하고 있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3일까지 안심전환대출 1, 2차분 접수를 모두 마친 가운데 안심전환대출 대상기관이 아닌 제2금융권 금융사들을 중심으로 리스크 관리가 강화되고 있다.

안심전환대출을 받은 개인들이 앞으로는 이자와 함께 원금을 갚아나가야 하는 만큼 상환부담이 커져 대출 수요가 제2금융권으로 몰릴 수 있고 이에 따라 연체율도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리스크 관리방식은 안심전환대출 수요자와 겹칠 수 있는 대출자 그룹을 대상으로 대출한도를 소폭 조정하거나 대출심사를 보다 꼼꼼히 하는 것이다.

실제 카드론과 현금서비스 등 대출조건이 비교적 수월한 카드대출의 경우 상위 10% 수요자들을 중심으로 카드대출 한도를 소폭 조정하는 방식으로 리스크 관리에 나서고 있다.

안심대출 대상자인 은행권과 겹치는 수요자를 대상으로 리스크 발생 가능성을 고려해 대출한도를 낮춰 리스크에 대비하려는 취지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안심전환대출로 대출 리스크 관리를 하는 경향이 있다"며 "혹시 발생할 수 있는 안심전환대출 풍선효과에 대비하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저축은행과 상호금융사 등 제2금융권도 이 같은 리스크 발생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예의주시하고 있다. 안심전환대출을 받을 사람들의 경우 원금상환액이 많아져 총부채상환비율(DTI·원금상환액+이자상환액/연간 총소득)이 악화될 수 있는 만큼 개인별 리스크 변화에도 주목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금융당국이 제2금융권에 안심전환대출을 실시하려던 계획 대신 햇살론이나 바꿔드림론 같은 정책성 서민금융 상품의 대출금리를 인하키로 하면서 이들 정책금융상품 수요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이다.

이 경우 기존에 대부업체 등에서 대출을 받았던 저신용 서민층들이 상호금융사 등으로 다수 이동할 수 있어 신용도 평가 등에 주의를 기울인다는 계획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안심전환대출을 받은 사람들이 다른 금융권에 중복 대출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고 이 경우 원리금 상환 부담으로 연체율이 높아지거나 추가 대출을 받을 가능성도 있다"며 "대출 계층이 확대될 경우 이에 대한 리스크 대비책도 생각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