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안심전환대출로 은행권 수익 최대 1천600억원 감소 전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출금리 낮아지고, 중도상환수수료 못 받고…은행들 불만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안승섭 이지헌 홍국기 기자 = 오는 24일부터 고정금리 연 2.6%대의 안심전환대출을 취급하는 16개 은행이 수익성 악화를 우려하고 있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시중은행의 기존 주택담보대출 평균 변동금리는 연 3.5%대로, 이 금리 대출자들이 안심전환대출로 갈아타면 은행은 1%포인트에 가까운 대출금리 손실을 보게 된다.

아울러 시중은행들은 대출자가 대출 실행 후 3년 안에 대출을 상환하면 경과 기간에 따라 최대 1.5%의 중도상환수수료를 부과하는데, 안심전환대출로 갈아타면 이를 부과할 수 없다.

대형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안심전환대출로 전환할 때 일정액의 수수료를 받는 것을 제외하면 기존 대출에 대한 이윤은 포기해야 한다"며 "중도상환수수료를 받지 못하는 것을 손익보전하는 방안도 없다"고 말했다.

금융투자업계는 가계부채 구조 개선을 위해 정부가 주도하는 안심전환대출로 인해 은행권들이 수익성에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대신증권은 안심전환대출 1차 한도인 20조원이 소진된다는 가정하에 전체 은행권 손실이 1천400억∼1천600억원에 이른다고 분석했다.

또 신한·국민·하나·우리 등 4대 시중은행은 주택담보대출 시장점유율에 따라 은행당 250억∼500억원의 순이자이익 감소가 불가피하다고 내다봤다.

하이투자증권은 이번 안심전환대출로 은행권의 순이자마진(NIM)이 연간 0.01%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은행들은 수익의 90% 이상을 대출금리와 예금금리의 차이에서 나오는 이자수익에 의존하고 있는데, 최근 수년 새 저금리 구조가 고착화하면서 예대금리차는 급격히 줄었다. 이에 따라 2005년 2.81%였던 순이자마진은 지난해 1.79%까지 떨어졌다.

유상호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금융당국의 안심전환상품 출시 안에 따르면 은행이 안심대출로 전환한 규모만큼 주택금융공사가 발행한 주택저당증권(MBS)을 의무적으로 매입해야 한다"며 "이 증권의 이윤이 주택담보대출의 이윤보다 낮아 은행권의 순이자마진이 하락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앞서 금융당국은 이번 안심전환대출로 은행이 매각한 돈이 새로운 가계대출 재원으로 활용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은행이 MBS를 1년간 의무적으로 매입·보유하도록 했다.

은행 입장에서는 연 3% 중반의 주택담보대출이 2% 중반의 MBS로 변경된다는 점에서 신규대출 20조원을 가정할 때 약 2천억원의 이자이익이 감소하는 셈이다.

은행권에서는 이를 '관치금융의 산물'이라는 지적도 적지 않다.

이에 금융당국은 주택금융공사가 이번 프로그램에서 주택금융신용보증기금 출연요율을 인하했고, 은행도 주택담보대출보다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채권인 MBS를 보유함으로써 유동성 비율 등에 도움이 된다는 논리를 제시하고 있다.

양병권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과 사무관은 "MBS는 무위험 자산인데다 안심전환대출 취급 실적에 따라 출연료 납부 경감 효과도 누릴 수 있어 은행들이 수익성 측면에서 손해를 보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redflag@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