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4 (화)

5·18 암매장 추정 옛 광주교도소 30일 발굴 시작...어떻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5·18 암매장 추정지.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5·18 민주화운동 당시 행방불명된 이들이 암매장된 곳으로 지목된 옛 광주교도소 현장발굴 작업이 오는 30일부터 시작된다. 문화재 발굴 작업처럼 첨단 장비를 동원해 정교하게 발굴작업을 진행하겠다는 게 5·18 기념재단의 설명이다.

과거 진술서 '암매장지'로 지목된 땅
재단은 23일 재단 사무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옛 교도소 재소자 농장 터 발굴 계획을 밝혔다. 발굴 대상 지역은 옛 교도소 북측 담장 밖 폭 3∼5m, 길이 117m 구간이다. 해당 구역은 1980년 5월 당시 재소자들이 농장으로 일궜던 곳으로, 법무부 소유 토지다. 지금은 아스팔트 포장 시공과 주변에 주차장·테니스장 등이 조성돼 있다.

해당 구역은 지난 1995년 5월 29일 서울지방검찰청이 작성한 '12·12 및 5·18 사건' 조사자료에 1980년 5월 당시 3공수여단 소속 김모 소령이 지목한 암매장지로 기재된 곳이다.

김 중령은 검찰에서 '5월 23일 오후 6시부터 약 2시간에 걸쳐 전남대에서 광주교도소로 호송하는 과정에서 사망한 3명을 포함해 12구의 시체를 매장한 사실이 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진술 기록에는 약도가 첨부돼 있는데, 5·18 당시 광주교도소에 수용됐던 시민도 해당 장소에서 암매장 작업을 목격했다고 재단에 제보했다.

재단에는 지난달 9일에도 3공수 부사관 출신 김모씨로부터 "부패한 시신 5∼7구를 임시로 매장했다"는 제보가 전해진 바 있다.

중앙일보

그래픽=박춘환 기자 park.choonhwan@joongang.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트렌치 설치하고 고고학 전문가 투입
재단은 현장에 우거진 잡초와 지표면 아스팔트 등 장애물을 제거하고 겉흙층에서 10∼30㎝가량을 굴착할 계획이다. 특히, 발굴지에는 유적지 조사 현장에서 쓰이는 트렌치(시굴 조사 구덩이)를 설치한다. 트렌치는 농장 터 땅 밑에 유해가 존재하는지, 과거 몇 차례나 흙을 파내고 다시 메웠는지 등 정교한 정보를 제공한다.

땅속탐사레이더(GPR·Ground Penetrating Radar)도 투입할 계획이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 보유한 GPR 장비는 지하 약 10m까지 투과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발굴 현장은 고고학 분야 전문가인 조현종 전 국립광주박물관장이 총괄한다. 6·25 한국전쟁 함평군 민간인학살사건 현장을 조사한 최인선 순천대 문화유산연구소장도 발굴에 참여한다.

유해 확인은 어떻게?
유해가 발견되면 광주지검 검찰의 지휘를 받게 된다. 재단은 발굴작업이 진행된 후 15일에서 20일 정도가 지나면 유해 발견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만약 유해가 나올 경우 신원확인 과정에는 박종태 전남대 법의학교수, 윤창륙 조선대 임상치의학교수 등 법의학·치의학 전문가가 참여한다.

전남대 의과대학 법의학교실은 5·18 행불자 신고를 한 130가족 295명의 혈액을 보관하고 있다.

오원석 기자 oh.wonseok@joongang.co.kr

▶모바일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카카오 플러스친구] [모바일웹]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