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30 (화)

[사설] 국가유공자는 대한민국이 영원히 기억하고 예우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광복절을 하루 앞둔 어제 독립유공자와 유족들을 초청해 오찬을 하는 자리에서 “독립유공자 3대까지 합당한 예우를 받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독립운동을 하면 3대가 망하고, 친일하면 3대가 흥한다는 말이 사라지게 하겠다”고도 했다. 문 대통령은 앞서 국가보훈처를 장관급 기구로 격상했고, ‘국가를 위한 헌신을 잊지 않고 보답하는 나라’를 100대 과제로 선정했다.

독립유공자 등을 잊지 않고 기리는 일은 국가 보훈의 기본이다. 이낙연 총리는 어제 독립유공자의 가정을 방문해 위로했다. 유공자 예우는 광복절, 현충일 등 특정일에 그치지 않고 상시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하지만 그간 우리 자화상을 돌아보면 부끄러움을 느끼게 된다.

연해주에 세운 독립운동가 산운 장도빈 선생 기념비가 4년 전 훼손됐지만 보훈처는 파악조차 못했다고 한다. 연해주 일대는 독립운동기념비가 여럿 있었으나 제대로 관리되지 않아 훼손됐다고 하니 기가 막힌다. 독립운동가를 찾는 일도 소홀했음을 자인하지 않을 수 없다. 현재 정부로부터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독립유공자는 1만4651명이다. 일제 때 독립운동을 하다 고초를 겪은 것으로 추산되는 15만명의 10% 수준이다. 더욱이 독립유공자 후손들이 여전히 가난의 굴레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독립유공자 가족들의 75.2%가 월 소득이 200만원 미만이라는 통계도 있다.

문 대통령은 어제 “지금까지는 자녀·손자녀 보상금이 선순위자 1인에게만 지급됐지만 앞으로 보상금은 현재대로 지급하면서 생활이 어려운 모든 자녀, 손자녀를 위해 생활지원금 사업을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독립유공자에만 국한할 일이 아니다. 6·25 참전용사, 베트남전 파병용사 등 국가를 위해 희생한 유공자 전반으로 확대돼야 한다. 유공자들의 예우가 대형 재난 희생자들에 비해 빈약했다는 지적이 있다. 국가를 위해 목숨을 바친 이들을 기억하고 예우하는 일은 대한민국이 영원히 실천할 국가적 책무다.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