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7 (금)

동물뼈 발견으로 유해 유실 우려 커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유해발굴 전문가들은 바닷속에서 3년을 견딘 미수습자가 온전한 형태가 아닌 작은 뼈 단위로 발견될 가능성에 무게를 둬왔다. 28일 세월호가 거치돼 있는 반잠수식 선박 갑판 위에서 동물 뼈로 추정되는 뼛조각 7개가 발견되면서 이런 우려가 현실이 될 가능성이 커졌다. 미수습자 유해도 뼈 단위로 존재한다면 이날 발견된 동물 뼈처럼 선체 밖으로 흘러나왔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박선주 충북대 명예교수는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유해발굴 작업은 늘 최악의 상황을 염두에 두고 이뤄져야 한다. 과거 바닷속에서 유해를 발굴한 사례들을 볼 때, 3년 정도 지난 시점에서 관절들이 모두 풀어져 있어 뼈가 각각 떨어져 있거나 뒤섞여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세월호의 경우 발굴의 가장 중요한 목적이 ‘신원 확인’인 만큼, 뼈가 더이상 흩어지거나 뒤섞이지 않도록 모든 발굴 과정이 훈련된 전문가에 의해 조심스럽게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바닷속에 있었던 만큼 펄이 시신을 덮어줘 형태를 유지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물을 뿌려 선체를 정리하거나 함부로 선체를 뒤흔드는 것은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옷가지 등 유류품 안에 유해가 담겨 있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유류품 역시 함부로 다룰 수 없다.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에서 유해발굴을 맡았던 노용석 부경대 교수는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현장보존’은 유해발굴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며 “땅속과 달라 여러 어려운 점이 있겠지만, 세월호라면 선체 자체가 보존해야 할 현장이 되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유해 신원을 확인하기 위해 디엔에이를 채취하는 과정 역시 조심스럽다. 여러 사람이 이 과정에 참여하는 경우 유해의 디엔에이가 오염될 우려가 있다. 박 교수는 “세월호의 경우 신원 확인에 대한 부분이 매우 예민한 문제다. 만일 흩어져버린 모든 뼈들을 수습하고 신원을 확인하는 것이 쉽지 않다면 어느 정도까지 확인해야 수습 완료로 볼 것이냐를 미수습자 가족과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동안 해양수산부는 미수습자 유해가 유실될 우려가 있는 곳에는 빠지지 않고 유실방지망을 설치했다고 설명해왔다. 하지만 해수부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유실방지망을 좌현, 우현 쪽에 설치했는데 (유실방지망 쪽으로 통과해 유해가 나온 건지) 좀더 조사해봐야 한다. 인양 과정에서 선체와 리프팅빔 간의 하중 전달이 많다 보니, 그 과정에서 유실방지망이 일부 훼손된 것 같다”고 밝혔다. 발견된 동물뼈 유해가 유실방지망이 설치되지 않은 곳을 통해 빠져나왔든, 훼손된 유실방지망을 통해 빠져나왔든 ‘완전한 수습’에 우려가 커진 건 사실이다.

‘유실방지망이 부실하다’는 지적은 오래전부터 제기돼왔다. 2014년 11월11일 미수습자 가족들은 수색에 나선 공무원과 잠수사들의 고통을 걱정해 “수중수색을 멈춰달라”는 결정을 내렸다. 당시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은 “그동안 병행해왔던 유실 방지를 위한 수색활동도 선체 봉인 조처를 한 후 마무리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10개월 뒤인 이듬해 8월, 자석으로 붙여 너덜너덜해진 유실방지망, 볼트가 다 풀어진 유실방지망 등이 발견돼 유가족이 유실방지막 용접을 요구하기도 했다. 유실방지막이 거르지 못한 유류품과 유해들을 2차로 걸러내야 할 사각 펜스는 다시 7개월 뒤인 2016년 3월에야 설치됐다.

인양 과정 중에도 배에는 구멍이 여러 개 뚫렸다. 지난해 6월 선수 들기 작업이 실패하면서 선수 부분에 각각 6.5m, 7.1m 길이에 너비 15~18㎝의 구멍이 생겼고, 이번 인양 과정에서는 선미 램프를 통째로 잘라내 거대한 구멍이 생겼다. 하지만 유실을 막기 위한 조처는 하지 않았다. 해수부는 “잘려나간 선미 램프를 통해 빠져나간 유실물은 없다”고 단언했다. 김형욱 전 세월호특조위 조사관은 “온전한 선체 인양이 온전한 미수습자 수습과 직결되는 만큼 지금이라도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처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진도/고한솔, 방준호 박수지 기자 whorun@hani.co.kr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 [신문구독] [주주신청]
[페이스북] [카카오톡] [정치BAR]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