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평 "尹 점지한 사람이 국민의힘 대선 후보"
尹과 결별 불가피 거론하는 국민의힘
집회 등에서도 尹 지지 흐름 급격히
윤 전 대통령 멘토로 알려진 신평 변호사는 7일 YTN 라디오에서 향후 대선 정국에서 윤 전 대통령이 대선 후보 선출 등에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보인다는 전망을 내놨다. 신 변호사는 "윤 전 대통령이 예언자적 지위에서, (그가) 점지하는 사람이 국민의힘의 대선 후보가 된다고 본다"며 "그런 면에서 그분(국민의힘 대선후보)이 과연 윤 전 대통령이 내건 가치에 대해서 얼마만큼 충실하게 구현하느냐에 관해서 국민적 심판이 내려지리라고 본다"고 말했다. 그 이유로 신 변호사는 "윤 전 대통령은 보수 우파의 지도자로서는 처음으로 강한 팬덤을 형성했다"며 "과거 박사모처럼 어떤 사람에 대한 지지라기보다는 윤 전 대통령이 내건 이념과 가치, 진로 설정에 대한 동조화로 강력한 팬덤이 형성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현재 국민들이 가장 많이 지지하는 정치인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아니라 윤석열이라는 정치인"이라는 주장을 폈다.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사흘째인 6일 서울 한남동 관저 앞이 차분한 모습이다. 윤 전 대통령의 퇴거 시기는 일러야 내주가 될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 전 대통령이 파면 후 내놓은 메시지도 지지층에 맞춰져 있다. 변호인단을 통해 내놓은 메시지에는 지지층에 대한 각별한 애정을 드러냈다. 윤 전 대통령은 "전국 각지에서 자유와 주권수호의 일념으로 싸우는 모습을 봤다. 거리와 교정에서 청년 학생들의 외침도 들었다"며 "몸은 구치소에 있었지만 마음은 여러분 곁에 있었다"고 고마운 마음을 전했다. 탄핵에 반대한 시위대를 향해 "자유와 주권 수호를 위해 싸운 여러분의 여정은 대한민국의 위대한 역사로 기록될 것"이라며 "저는 대통령직에서는 내려왔지만 늘 여러분 곁을 지키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尹과 거리두는 국민의힘
윤 전 대통령은 차기 대통령 선거 등 앞으로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을까.
이유는 각각 다르지만, 전략적 관점에서 윤 전 대통령과 결별이 불가피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권영진 국민의힘 의원은 "(윤 전 대통령은) 민주당 입장에서는 탄핵당한 대통령 아니냐. 윤 전 대통령을 소환해 국민의힘과 한 묶음으로 선거 구도를 만드는 게 민주당의 전략이라고 본다"면서 "정치적으로는 이제 대통령과 국민의힘은 다른 길을 갈 수밖에 없다. 정치적으로는 대통령은 이제 자연인으로 돌아갔고, 당적 정리 등의 부분도 자연스럽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제 다시 대선을 치러야 하는 국민의힘으로서는 윤 전 대통령과 국민의힘은 거리를 둘 수밖에 없는 것이다.
박근혜와 윤석열은 시작부터 다르다
실제 정치권에서는 과거 박 전 대통령과 달리 윤 전 대통령이 헌재의 파면 결정 이후에도 국민의힘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을지를 두고서 관심을 가졌다. 하지만 실제 윤 전 대통령이 그런 '힘'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해서 회의적인 상황 등이 여럿 확인된다.
우선 헌재의 결정 직후 지지자들이 보인 반응이다. 8년 전 탄핵 당시 유혈사태를 재현하지 않겠다는 경찰의 적극적인 대응 방침 덕도 있지만, 이번 파면 결정에서는 윤 전 대통령 탄핵에 반대하는 시위대의 반발이 크지 않았다. 실제 2017년 박 전 대통령 난핵심판 선고 때에는 4명이 목숨을 잃고 67명이 다쳤지만, 이번에는 부상자가 나오지 않았다. 국회나 용산 관저 주변도 차분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6일 서울 동화면세점 앞에서 '사랑제일교회, 광화문 주일 연합예배'가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신 변호사가 언급한 것 처럼 윤 전 대통령은 박 전 대통령과 달리 개인적 지지가 없다는 점도 정치력의 한계가 될 수 있다. 윗사람의 딸을 높여 이르는 말인 영애(令愛)로 불리며 오랜 기간 지지층과 세월을 함께한 박 전 대통령과 달리 윤 전 대통령은 문재인 전 대통령에 대한 거부감 속에서 일약 스타처럼 등장했던 터라 지지기반이 약하다. 지역이나 세대, 정치적 경험 등에 있어서 공감대가 약할 수밖에 없다. 더욱이 박 전 대통령은 오랜 정치이력으로 인해 당시 '박사모' 등 고정팬층이 형성되어 있었지만, 윤 전 대통령의 경우에는 이런 팬층이 두텁지 못하다.
이외에도 박 전 대통령의 경우 보수의 본산이라고 불리는 대구·경북(TK) 일대에서 선거마다 당락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영향력이 있지만, 윤 전 대통령의 경우 지역구 국회의원을 당락을 좌우할 수 있을 정도의 영향력이 있는지에 대해 의구심이 크다.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