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조기 대선에 앞서 개헌 성사 여부가 관심사로 떠올랐다. 정치권에서는 그동안 개헌에 대한 언급을 자제해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사진)의 입에 관심이 쏠린다. 이 대표가 국회 170석을 보유한 원내 제1당의 대표이자 유력한 대권주자이기 때문이다.
6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 대표는 그동안 "내란 극복에 집중해야 한다"며 개헌에 대한 구체적인 입장 표명을 미뤄왔다. 다만 큰 틀에서 개헌 필요성 자체에는 찬성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표는 지난달 27일에는 "이미 그때(2022년 대선 당시) 치밀하게 고민해서 당의 입장이 정리돼 있고, 제 입장도 공표돼 있다"며 "크게 변한 바가 없다. (개헌 논의를) 안 할 수는 없다. 나도 하고 싶은 이야기가 많다"고 말했다.
정대철 대한민국헌정회장은 6일 이 대표가 '책임총리제 도입' 등을 골자로 한 개헌에 동의했다고 밝혔다. 정 회장은 매일경제와의 통화에서 "이 대표가 지난 3일 통화에서 개헌에 동의했다"며 "권력구조에 국한한 '원포인트' 개헌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고 소개했다.
민주당도 개헌론에 대해 당 차원의 대응에 나섰다. 김윤덕 사무총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민주당은 내란 사태를 제대로 마무리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해 대통령선거 준비나 개헌이 당과 지도부 차원에서 논의되지 못했다"면서도 "다만 개헌 문제에 관해선 지난 문재인 정부 때부터 개헌 필요성을 계속 얘기했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일부 주자들은 차기 대통령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하고, 차차기 대통령부터 4년 중임제 적용을 주장하고 있다. 반면 이 대표 측은 차기 대통령 임기는 기존대로 5년으로 하되 후임 대통령부터 중임제를 도입하는 방안을 들여다보고 있다.
[전형민 기자 / 구정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