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당내 예선전 본격화
절대강자 없어 무한경쟁 예고
김문수 “나라 이대론 안돼”
李 불신하는 지지층 결집 노려
홍준표는 시장직 던지고 상경
한동훈 “분열을 넘어 치유로”
오세훈·안철수 금주 출마선언
절대강자 없어 무한경쟁 예고
김문수 “나라 이대론 안돼”
李 불신하는 지지층 결집 노려
홍준표는 시장직 던지고 상경
한동훈 “분열을 넘어 치유로”
오세훈·안철수 금주 출마선언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왼쪽)과 권성동 원내대표(가운데), 김상훈 정책위의장(오른쪽) 등 지도부와 4선 이상 중진 의원들이 6일 비공개 회의를 했다. 국민의힘 중진 의원들은 이날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관계 설정과 중도층을 잡아낼 방법 등에 대해 논의했다. [김호영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조기 대선 국면이 펼쳐진 가운데 국민의힘도 그간 애써 외면했던 대선 체제로 전환을 시작했다. 이른바 잠룡들의 대권 도전 선언도 차례로 이어질 전망이다.
6일 국민의힘은 의원총회를 통해 조기 대선 일정 등을 논의하기 시작했다. 국민의힘은 경선관리위원회를 이번 주 초반에 구성하고 후보 등록 개시를 공고할 예정이다.
앞서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윤 전 대통령 파면 직후에 열린 의총에서 “시간이 촉박하지만 절대로 물러설 수 없고 져서는 안 될 선거”라며 “피와 땀과 눈물로 지키고 가꿔온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험천만한 이재명 세력에게 맡길 수 없다”고 말했다. 전국의 당 현수막과 당 홈페이지도 지난 4일부터 ‘국민께 죄송합니다. 끝까지 책임을 다하겠습니다’라는 내용으로 교체됐다.
주요 대권 주자들의 출마 선언도 이번 주부터 이어질 전망이다. 주요 주자들은 윤 전 대통령 탄핵에 대한 입장에 따라 크게 둘로 나뉜다.
홍준표 대구시장,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이철우 경북지사 등은 윤 전 대통령 지지층에 힘을 실어달라고 호소하는 전략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오세훈 서울시장,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 등은 계엄 불법성을 인정하고 일어서야 정권을 재창출할 수 있다는 시각을 갖고 있다.
여권 내 지지율 1위를 달리는 김 장관은 전날 자신의 대선 출마를 촉구하는 시민단체 관계자들을 만나 “이 나라가 이렇게 가서는 안 된다”는 의미심장한 말을 남겼다. 김 장관은 “계획한 건 없다”면서도 국민의힘 입당 계획에 대해 “봐서 하겠다”고 얘기했다. 이 지사도 전날 페이스북에 “무너지는 나라를 보고만 있을 수 없다”면서 “우리 당 경선도 ‘미스트롯’ 형식을 모방해 ‘미스터 프레지던트’라는 제목으로 전국을 순회하면서 자유우파 승리 여론을 형성해야 한다”고 메시지를 남기며 경선 출마를 시사했다.
당의 경선 로드맵이 확정되면 비윤석열계 성향 후보들도 일제히 출사표를 내놓을 전망이다. 한 전 대표 측은 “경선 일정 윤곽이 나오는 대로 출마 선언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 전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분열을 넘어, 치유와 회복으로 가야 한다”는 글을 올려 공식 출마 선언이 임박했음을 시사했다.
한 전 대표 역시 캠프 자리로 여의도 대하빌딩을 점찍은 것으로 알려졌다. 확정될 경우 홍 시장 캠프와 함께 ‘한 지붕 두 가족’의 모양새가 연출될 수 있다.
경선 룰도 눈여겨봐야 할 부분이다. 지난 20대 대선 때 국민의힘 선거관리위원회는 1차 컷오프에서 예비 후보를 8명으로 추렸다. 국민 여론조사 80%, 당원 선거인단 투표 20% 비율로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2차 컷오프 때는 경선 후보를 4명으로 압축했는데 당원 비중을 높여 국민 여론조사 70%, 당원 선거인단 투표 30%를 합산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본경선에선 국민 50%, 당원 50%를 합쳐 최종 후보를 선출했다.
이번 대선에서도 같은 방식을 적용할지는 미지수다. 대선 기간이 짧은 만큼 최종 후보 선출까지 절차를 앞당겨야 한다는 요구가 거세기 때문이다. 반대로 대선 기간이 짧기 때문에 경선 룰을 바꾸기 어렵다는 해석도 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오히려 경선 룰 변경이 후보들의 계획을 더 꼬이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되도록 손을 대지 않는 것이 낫다는 의견도 많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