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리기간 2∼3개월 이상 걸려…폐기물처리·복구 시작되면 중장비 지원 필요
"중장비, 필요하면 다른 시도에 지원 요청할 것"
산불 폐허 속에서 |
(안동=연합뉴스) 이승형 기자 = 경북 산불 피해조사가 진행될수록 폐기물 처리 문제가 골칫거리가 되고 있다.
8만4천여t의 폐기물이 쏟아진 지난 2022년 울진 산불과 비교해 최소 10배 가까운 폐기물이 예상된다. 여기에 공장 등 사업장 폐기물까지 포함하면 폐기물 규모는 더 늘어난다.
본격적인 폐기물 처리 및 복구가 시작되면 포크레인, 덤프트럭 등 중장비도 추가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6일 경북도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도내 5개 시군에서 3천900채 이상의 주택이 불에 탄 것으로 잠정 집계되고 있다. 피해 주택 대부분은 전소됐다.
산술적으로도 이번 경북 산불 피해지에서 10배 가까운 폐기물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울진 산불 때는 폐기물 처리에 155억5천여만원이 투입됐다.
경북도 관계자는 "현재 피해조사가 진행 중인데 피해조사가 끝나고 피해액과 이를 바탕으로 한 복구액이 나오면 폐기물 처리 규모를 파악할 수 있다"며 "우선 2022년 울진 산불 상황과 비교해 폐기물 규모를 예측하고 처리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산불 휩쓸고 간 영덕 |
지난달 22일부터 일주일간 도내 5개 시군으로 번진 이번 산불로 인한 주택 피해는 지난 4일 기준으로 3천927채가 불에 탄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시군별 주택 피해는 영덕이 1천478채로 가장 많고 안동 1천212채, 청송 770채, 의성 357채, 영양 110채다.
당국은 공장 등 사업장 폐기물은 자체 보험 등에 처리 비용이 포함돼 있고 자체 처리가 원칙이나 피해 시군 발생량 등을 별도 파악한 후 지원 건의 등을 검토할 계획이다.
도는 지역 폐기물 업체를 통해 전량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도는 피해조사가 끝난 후 철거에 대비해 필요 중장비 상황 등을 파악해 필요할 경우 타 시도에 지원을 요청할 방침이다.
haru@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