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교육감, 지자체장 선거에선 국힘 ‘참패’
민주당은 지자체장·광역·기초의원 모두 ‘승리’
조국혁신당은 담양서 첫 지자체장 배출 ‘감격’
4·2 재보궐선거 본투표날인 2일 구로구청장 투표소인 서울 구로구 구로 중학교에서 한 유권자가 투표하고 있다. 한수빈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목전에 두고 실시된 4·2 재·보궐선거가 야권의 승리로 끝났다. 여당인 국민의힘은 기존 텃밭인 TK에서 지지세를 확인하는데 만족해야 했다.
지난 2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잠정 집계결과 전체 선거인수 462만908명 중 사전투표를 포함해 총 121만3772명(26.27%)이 투표에 참여했다.
국회의원 선출이 없는 가운데 치러진 이번 선거에서 최대 관심사는 부산교육감과 지자체장 5곳(경남 거제·경북 김천·서울 구로·전남 담양·충남 아산)에서 여야 중 누가 더 많은 승리를 거두는지였다. 당초 이들 지역은 담양(민주당)을 제외하곤 모두 국힘이 승리한 지역이었다.
3일 오전 0시30분 현재 대부분 지역에서 개표가 끝났거나 당락 여부가 확정된 상태다. 개표 결과 국힘은 김천에서만 승리하는데 그쳤다. 민주당은 구로·아산·거제에서 승리했고, 조국혁신당은 담양에서 신승하며 첫 지자체장을 배출했다.
탄핵찬·반 진영의 대리전으로 비화된 부산교육감 선거에서는 진보진영의 김석준 후보가 과반 득표에 성공하며 당선됐다. 김 후보는 2022년 교육감 선거에서 득표율 1.6% 차이로 석패한 뒤 재출마해 당선됐다.
보수세가 강한 거제와 여권이 전통적인 우세를 보이는 아산에선 민주당이 승리했다.
거제시장 재선거에서는 변관용 민주당 후보가 박환기 국민의힘 후보를 약 1만6000여표차로 여유있게 따돌렸다. 이번 선거는 한때 거제시장(변 후보)과 부시장으로 함께 일 한 두 사람이 당을 달리해 출마해 화제를 모았다. 여권세가 강한 아산시장 재선거에도 오세현 민주당 후보가 전만권 국민의힘 후보를 누르고 당선됐다.
국힘은 보수 텃밭인 김천시장 선거에서만 승리하는데 그쳤다. 배낙호 후보가 과반이 넘는 51% 득표율로 타 후보들을 가볍게 눌렀다. TK 지역에서 변함없는 지지세를 확인한 게 국힘으로선 위안이었다.
기초의회 선거도 민주당의 승리로 끝났다. 총 8곳 중 민주당이 5곳(서울 중랑·마포·동작·경남 양산, 전남 광양), 국힘이 2곳(인천 강화·경북 고령), 무소속이 1곳(전남 고흥) 당선됐다. 이 중 중랑·양산은 본래 국힘 의석이었지만 선거를 통해 주인이 바뀌었다.
광역의원 재·보궐 선거에서도 민주당이 ‘판정승’을 거뒀다. 총 7곳 중 국힘이 4곳(대구 달서·인천 강화·충남 당진·경남 창원)에서, 민주당이 3곳(대전 유성·경기 성남·경기 군포)에서 승리했다. 경기 성남의 경우 본래 개혁신당 의석이었지만 민주당이 확보하는데 성공했다. 나머지 6곳의 당적은 선거 전과 동일하게 유지됐다. 민주당은 경기 성남·군포 선거에서 승리하며 경기도의회의 다수당이 됐다.
이번 선거는 기초단체장 선거 5곳의 투표율이 37.83%로 부산교육감 선거 1곳(22.76%)보다 높게 나타났다. 시·도의원 선거 투표율은 26.8%, 시·군·구의원 투표율은 22.8%로 잠정 집계됐다.
기초단체장 중에는 전남 담양군수 선거가 전체 4만394명 유권자 중 2만4969명이 투표해 가장 높은 61.8%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이어 경남 거제시장 선거(47.3%), 경북 김천시장 선거(46.4%), 충남 아산시장 선거(39.1%), 구로구청장 선거(25.9%) 등의 순이었다.
류인하 기자 acha@kyunghyang.com, 김태희 기자 kth08@kyunghyang.com, 김정훈 기자 jhkim@kyunghyang.com
▶ 주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