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헌법재판소의 판단을 둘러싼 여야 정치권의 승복 논쟁도 다시 불붙었습니다. 지난달만 해도, "승복하지 않으면 어쩌겠느냐"던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윤석열 대통령의 승복을 말합니다. 본인은 승복하겠다는 건지, 안하겠다는 건지 명확히 밝히지 않은건데, 대신, 헌법재판소에 대한 압박 수위는 눈에 띄게 낮아졌습니다.
왜 그런 건지, 전정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오는 4일 탄핵심판 선고 결과에 따른 승복 입장을 묻는 기자 질문에 날선 반응을 보였습니다.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대표
"(당연히 승복한다고 하셨거든요.이 입장 여전히 변함없다고 보면 될까요?)"
"승복은 윤석열이 하는 겁니다."
이 대표는 지난달 유튜브 방송에선 “승복하지 않으면 어떡하겠냐”고 말한 바 있습니다.
민주당도 논평을 통해 "헌재 결정에 승복해야 할 건 윤석열과 국민의힘"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여권의 승복 요구에 역공에 나선 겁니다.
헌재를 향해선 '합당한 결론'을 낼 것으로 기대한다며 재판관들을 추켜세웠습니다.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대표
"헌법재판소의 재판관들은 대한민국에서도 역량과 인품이 뛰어난 분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현희 /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헌법재판관 8인의 정의로운 결정을 국민과 함께 기다리겠습니다"
앞서 ‘물리적 내전’, ‘유혈 사태’ '을사 8적' 등을 언급했던 당 지도부가 선고 기일이 다가오자 발언 수위 조절에 나선 걸로 해석됩니다.
하지만 재판관을 향한 개별 의원들의 압박 메시지는 오늘도 이어졌습니다.
박지원 / 더불어민주당 의원 (어제, YTN 라디오 '신율의 뉴스 정면승부' 中)
“기각 혹은 각하 또는 그러한 의견서를 낼 헌법재판관이 있을까, 제2의 이완용입니다. 자자손손이 대한민국에서 못 살아요.”
최상목 부총리에 대한 탄핵안은 오늘 국회 본회의에 보고됐지만, 민주당은 표결 시점을 정하지 않으며 일단 속도 조절에 나선 모습입니다.
TV조선 전정원입니다.
전정원 기자(garden@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헌법재판소의 판단을 둘러싼 여야 정치권의 승복 논쟁도 다시 불붙었습니다. 지난달만 해도, "승복하지 않으면 어쩌겠느냐"던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윤석열 대통령의 승복을 말합니다. 본인은 승복하겠다는 건지, 안하겠다는 건지 명확히 밝히지 않은건데, 대신, 헌법재판소에 대한 압박 수위는 눈에 띄게 낮아졌습니다.
왜 그런 건지, 전정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오는 4일 탄핵심판 선고 결과에 따른 승복 입장을 묻는 기자 질문에 날선 반응을 보였습니다.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대표
"(당연히 승복한다고 하셨거든요.이 입장 여전히 변함없다고 보면 될까요?)"
"승복은 윤석열이 하는 겁니다."
이 대표는 지난달 유튜브 방송에선 “승복하지 않으면 어떡하겠냐”고 말한 바 있습니다.
민주당도 논평을 통해 "헌재 결정에 승복해야 할 건 윤석열과 국민의힘"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헌재를 향해선 '합당한 결론'을 낼 것으로 기대한다며 재판관들을 추켜세웠습니다.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대표
"헌법재판소의 재판관들은 대한민국에서도 역량과 인품이 뛰어난 분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현희 /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헌법재판관 8인의 정의로운 결정을 국민과 함께 기다리겠습니다"
하지만 재판관을 향한 개별 의원들의 압박 메시지는 오늘도 이어졌습니다.
박지원 / 더불어민주당 의원 (어제, YTN 라디오 '신율의 뉴스 정면승부' 中)
“기각 혹은 각하 또는 그러한 의견서를 낼 헌법재판관이 있을까, 제2의 이완용입니다. 자자손손이 대한민국에서 못 살아요.”
최상목 부총리에 대한 탄핵안은 오늘 국회 본회의에 보고됐지만, 민주당은 표결 시점을 정하지 않으며 일단 속도 조절에 나선 모습입니다.
전정원 기자(garden@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