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 환율 4일째 1470원대
원자재 수입 비용 늘어 부담 커
“상호관세 부과 땐 생존 미지수”
2일 오전 기준 서울 외환시장 원·달러 환율은 1472.0원으로 4일째 1470원대를 유지 중이다. 이는 중소기업중앙회가 실시한 ‘고환율 관련 중소기업 실태조사’에서 중소기업들이 생각하는 손익분기점 환율(1334.6원) 및 적정 환율(1304원)보다 최소 130원 이상 높은 수준이다.
부산항 신선대, 감만, 신감만 부두에 수출입 화물이 쌓여 있는 모습.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 결과 지난해 12월12일부터 지난 3월31일까지 전국 15개 애로신고센터에 접수된 환율 관련 애로사항은 총 60건에 달한다. 환율 상승으로 원자재 수입 비용이 늘어 환차손이 발생했다는 내용이 대부분이다.
과거 환율 상승은 수출 기업에 호재로 받아들여졌지만 수출중소기업에게는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국내 중소기업 상당수는 원자재를 수입해 가공한 뒤 대기업이나 해외에 판매하는 구조여서 환율에 직접적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또 상대적으로 협상력이 떨어져 원자재 가격 인상분을 납품단가에 반영하지 못하고 온전히 떠안을 가능성이 크다.
경기 지역에서 10여년째 자동차 부품 업체를 운영 중인 김모(50대) 대표는 “12·3 비상계엄 이후 치솟은 환율과 지난달부터 시행된 관세로 마진율이 쪼그라들 대로 쪼그라들었는데 여기에 상호관세까지 추가되면 과연 버틸 수 있을지 모르겠다”며 “정부가 납품대금연동제와 중소기업 협상력을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채명준 기자 MIJustice@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