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마저 줄어든 SK매직
수익성 악화에도 규모 키웠지만
작년 매출 30%나 줄어 '빨간불'
순손실 70억···경쟁사 격차 확대
글로벌전략 전면 수정 목소리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일 SK매직의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레이시아 법인의 매출액은 673억 6500만 원, 당기순손실은 70억 4400만 원을 기록했다. 2018년 말레이시아에서 본격적으로 사업을 시작한 이후 계속 이어온 적자 행진에서 이번에도 벗어나지 못했다. 더 눈에 띄는 부분은 매출액 감소다. 지난해 말레이시아 법인 매출은 2023년 매출액인 961억 원 대비 30%나 쪼그라들었다.
SK매직 관계자는 “말레이시아 시장 성장세가 둔화된 가운데 경쟁이 치열해 졌고, 환율 영향 등으로 실적이 감소 한 것”이라며 “여기에 그동안 제품 대행 판매를 했던 국내 기업과 계약이 종료 됐고, 주방가전 사업부문이 빠지면서 수출 규모가 일시적으로 감소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기업이 해외 시장에 진출할 때 초기 인지도 및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 영업손실을 감수하고, 인프라 투자는 물론 각종 마케팅비를 지출한다”면서 “하지만 이에 대한 반대 급부로 매출액은 커져야 하는데 SK매직의 경우 지난해 매출액까지 크게 감소했다. 결국 시장에서 자리를 잡지 못했다는 방증”이라고 분석했다.
SK매직이 말레이시아에서 자리를 잡지 못하자 SK매직의 해외 사업 전체 전략을 대폭 수정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업계는 말레이시아에서 SK매직이 프리미엄 시장에서는 코웨이에 밀리고, 보급형 시장에서는 쿠쿠 등 다른 업체들과 큰 차별성이 없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현재 말레이시아 현지 정수기 월 렌털료를 살펴보면 코웨이의 경우 주력 제품은 평균 월 100링깃(3만3000원) 이상의 프리미엄 제품을 주력으로 하고 있다. 반면 SK매직의 월 평균 렌털료는 80 링깃(2만2000원) 대로 프리미엄부터 보급형까지 다양한 라인업을 갖춘 쿠쿠와 겹친다. 결국 양적·질적으로 경쟁사들에 밀리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매출이 줄었지만 부채가 높아진 것을 두고 업계에서는 가격 정책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매출이 줄면 부채도 줄어야 하는데 원가대비 가격을 낮게 잡아 나타난 현상이라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프리미엄 제품은 말레이시아 시장 점유율 30%를 넘어서는 코웨이와 경쟁을 해야 하고, 보급형 제품은 SK매직 보다 현지 인지도가 높고 가격 경쟁력을 갖춘 쿠쿠 등 다른 기업들과 경쟁을 해야 한다”며 “이러한 포지션으로 인해 SK매직이 렌털 누적계정이 23만 계정을 달성했음에도 수익성은 물론 매출 성장이 정체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노현섭 기자 hit8129@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