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8일 서울구치소에서 석방된 윤석열 대통령이 서울 한남동 관저 앞에서 차에서 내려 지지자들에게 손을 들어 보이고 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기일을 4일로 지정했지만 당사자인 윤 대통령은 침묵을 이어가고 있다. 정치적 고비 때마다 지지층 결집 메시지를 냈던 윤 대통령은 탄핵 선고가 임박한 상황에서 입장 표명을 자제하는 분위기다. 일각에선 사회ㆍ정치의 극한 분열을 완화하고 제도의 신뢰를 높이기 위해 윤 대통령이 통합 메시지를 내놔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일 정치권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헌재의 탄핵심판 선고 이틀 전인 이날까지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대통령실만 전날 "차분하게 헌재의 결정을 기다리겠다"는 입장을 전하며 말을 아꼈다.
그간 윤 대통령은 정치적 고비 때마다 보수 결집을 시도하는 듯한 메시지를 내놨다. 지난해 12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윤 대통령의 체포영장과 수색영장을 청구해 발부받았을 당시 그는 A4용지 1장짜리 글에서 "나라 안팎의 주권침탈세력과 반국가세력의 준동으로 지금 대한민국이 위험하다"며 "여러분과 함께 이 나라를 지키기 위해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말했다. 12월 7일 국회의 첫 탄핵소추안 투표 당시엔 '당에 일임하겠다'는 내용의 담화를 내면서 여당 의원들이 투표에 나서지 않아 투표 불성립으로 탄핵 위기를 넘기기도 했다. 두 번째 탄핵소추안 투표가 있었던 12월 14일을 이틀 남기고는 내란 불성립과 계엄의 정당성을 강조하는 내용의 담화문을 발표하며 탄핵 소추를 정면돌파했다. 당시 정치권에선 앞으로 있을 탄핵 심판에 대한 공개변론이자 지지층 결집용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윤 대통령은 그러나 지난달 법원의 구속 취소 결정으로 석방된 이후 줄곧 침묵을 이어오고 있다. 정치권이 지난달 승복 메시지를 두고 거센 공방을 벌이던 중 민주당 김민석 최고위원이 "승복을 약속할 진짜 당사자는 윤석열 (대통령)이다. 자기 살고 김건희 (여사) 살리자고 이 난리를 만든 당사자 아니냐"고 공세를 이어간 와중에도 윤 대통령과 대통령실 모두 무대응으로 일관했다. 탄핵심판 선고가 임박한 상황에서 굳이 헌재와 정치권을 자극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이 시점에선 윤 대통령의 메시지가 당연히 나와야 한다"면서 "불안감과 혼란을 가라앉히기 위해서도 그렇지만 대통령으로서 (사법 등) 제도에 대한 신뢰를 높일 필요가 있다. 대통령이 그 신뢰를 높여야 대한민국이 계속 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재명 대표는 이같은 승복 메시지 논란에 "승복은 윤석열이 하는 것"이라고 맞받아쳤다.
[이투데이/김동효 기자 (sorahosi@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