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민의힘 간사인 김미애 의원이 지난해 9월 1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교육·사회·문화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발언하고 있다.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이 국내 거주 외국인의 지방선거권 부여 기준을 대폭 강화하는 법안을 2일 발의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여당 간사인 김 의원이 대표 발의한 ‘공직선거법 일부개정법률안’은 투표권이 부여되는 외국인의 국내 체류 기간 기준을 10년 이상으로 늘리고, 국가 간 투표권 상호주의 원칙이 적용되는 경우에만 지방선거권을 인정하는 내용이다.
현행법 상 외국인 투표권은 대통령·국회의원 선거에는 해당되지 않지만, 국내 영주권 취득 후 3년이 지난 외국인에게는 기초·광역단체장 및 지방의원 선거권을 부여하고 있다. 반면 해외에서 영주권자로 거주하는 한국 국민 다수는 해당 국가에서 선거권을 부여받지 못하고 있다.
국내 외국인 투표권은 노무현 정부 때인 2005년 일본 정부의 재일교포 참정권 부여를 촉구하기 위해 처음 도입, 2006년 지방선거부터 적용했다. 당시 외국인 선거권자는 6700여 명에 불과해 총 선거인의 0.02%에 그쳤다. 한국 정부는 재일 한국인 약 40여명의 ‘지방선거 투표권’ 획득 등 호혜적 효과를 기대했지만, 일본은 여전히 외국인 참정권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
김 의원은 “민주주의가 없어 제대로 된 민주적 선거가 없는 중국의 국민이 다른 나라에서 투표한다는 자체가 비상식적이고, 투표권 행사를 위한 의무 거주 기간도 명시되어있지 않아 법망이 허술하다는 지적이 있어왔다”며 이번 개정안 발의 배경을 설명했다.
조문규 기자 chomg@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