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미국 정부 지출 삭감과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인공지능(AI) 버블에 대한 우려가 나스닥 100 지수를 강타하며 3년 만에 최악의 분기를 기록했다.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미국 증시는 올해 1분기 트럼프 2기 행정부를 겪으면서 약 3년 만에 최악의 하락장을 기록했다. 최근 AI 인프라 투자 축소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기술주들이 급락했고, 투자자들은 다시 한번 불안감에 휩싸였다.
엔비디아는 1월 정점에서 28% 하락했으며, 브로드컴은 12월 최고점 대비 33% 떨어졌다.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알파벳, 메타도 각각 20% 이상 하락했다.
보스턴파트너스의 마이클 멀레이니는 "AI에 대한 의문이 커지는 시점에서 기술주들이 과대평가된 상태였다"며 "투자자들이 수익을 실현할 명백한 지점이 됐다"고 분석했다. 최근 알리바바 공동 창업자가 AI 시설 확장이 수요를 초과하고 있다고 경고하면서 우려가 커졌으며, 마이크로소프트가 미국과 유럽에서 데이터센터 프로젝트를 철회한다는 보고가 나오며 시장이 흔들렸다.
이러한 상황에 따라 AI 관련 주식 시장의 침체는 지속되고 있다. 엔비디아가 지원하는 AI 컴퓨팅 서비스 기업 코어위브는 최근 IPO에서 기대 이하의 성적을 기록하며 상장 후 7% 하락했다. 김 포레스트 보케캐피털 최고투자책임자(CIO)는 "AI 투자 열기가 식어가는 신호"라고 평가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