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재가 탄핵 인용 결정을 내리면 곧바로 조기 대선 국면에 들어가지만 강성 보수층의 반발이 예상된다. 기각 시에는 진보 진영의 불복 운동이 우려된다. 헌재가 어떤 결정을 내려도 심각한 후유증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31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앞 더불어민주당 천막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3.31 choipix16@newspim.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일부 정치권은 이런 갈등 양상을 해소하고 국민 통합을 모색하기는커녕 광장의 갈등을 부추기고 있다. '유혈' '불복' '죽창' '인민재판' 등 국민을 선동하는 분열의 언어를 서슴지 않고 있다. 의원들의 삭발과 단식, 릴레이 시위 등 거리 정치는 그 예고편이었다. 헌재의 선고 이후가 더 걱정되는 이유다.
무엇보다 헌재에 대한 불신이 만만치 않다. 3월 27일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3월 24~26일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국지표조사(NBS)에서 헌재의 탄핵심판 과정을 '신뢰한다'는 응답은 53%,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40%였다.
이래서는 누가 정권을 잡아도 성공하기 어렵다. 국민 40%가 헌재의 결정에 불복해 정권의 반대편에 견고한 성을 쌓고 임기 내내 정권을 흔든다면 어떻게 될지는 불 보듯 뻔하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정권을 잡는 것이 목적이 돼서는 안 된다. 통합의 리더십으로 국가 위기를 극복하고 국론 분열을 치유해 성공한 정권이 돼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 일부 정치권이 갈등을 부추기는 듯한 발언을 서슴지 않는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지난달 31일 천막당사 최고위원회의에서 "윤석열이 복귀하는 것은 곧 제2계엄"이라며 "대한민국 전역이 군사 계엄에 노출되는 일인데 엄청난 혼란과 유혈 사태를 감당할 수 있을지 상상해보라"고 했다. 공당 대표로서는 부적절한 발언이다.
4선 박홍근 민주당 의원은 1일 페이스북 글에서 "내란 수괴 윤석열을 끝내 파면하지 못하거나 기각 결론을 내린다면 수용할 수 없는 건 너무나 자명하다"며 "국민들과 함께 대대적이고 필사적인 저항에 나서야 되지 않겠느냐"고 주장했다. 사실상 불복 운동을 시사한 것이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승복 입장을 밝혔지만 그들의 언어도 극단적이고 원색적이긴 마찬가지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 대표의 유혈 사태 발언에 대해 "죽창을 들고 재판하는 인민재판과 무엇이 다르냐"며 "민주당은 존재 자체가 국헌 문란"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헌재를 향해 "헌재가 겁박에 굴복하지 않아야 민주당의 집단 광기를 중단시킬 수 있다"고 했다.
leejc@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