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민간 클라우드 전면 개방 요구 담아
공공 클라우드는 중등급 허용 재차 요구
국가핵심기술의 외국 CSP 제한 문제 첫 언급
망사용료 입법 반대·데이터 국외반출 허용 언급
보고서에는 국내 공공·민간 클라우드 시장에서 미국 기업의 참여를 제한할 수 있는 요소들을 무역장벽으로 명시했으며, AI 인프라 시장을 정조준한 압박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미국 빅테크가 꾸준히 반대해온 망사용료 입법과 위치기반 데이터 국외 반출 제한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다.
작년보다 클라우드, 네트워크망, 데이터 등 ICT 전반에 걸친 규제 완화 요구가 강화됐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 발표를 앞둔 시점과 맞물려 우리 정부와 기업에 상당한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무역대표부(USTR)는 31일(현지시간) 발표한 국가별 무역장벽보고서(NTE)에서 한국의 공공 클라우드 보안인증제도(CSAP)를 외국 기업의 시장 진입을 가로막는 무역 장벽으로 지적했다. USTR은 CSAP가 공공 부문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외국 기업들에게 상당한 장벽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USTR은 국정원의 보안 검증도 무역장벽으로 꼽았다. 국정원이 자체 보안평가제도(SES)를 운영하면서 국제공통평가기준(CC) 인증 제품에 대해서도 추가로 보안 검증을 요구하고, 암호모듈에 대해선 국제 표준인 AES는 인정하지 않으면서 국내에서 개발된 것(ARIA, SEED)만 인정해 온 점을 언급했다. 모두 공공 IT 시장에서 미국 기업보다 한국 기업에 유리하게 작용해 온 정책들이다. 국정원은 이같은 요구가 지속되자 올해부터 AES 암호도 인정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산업기술의 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법률(산업기술보호법)에 따라 반도체, 자동차, 로봇, 항공기 등 국가 안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국가핵심기술 목록을 관리하고 있다. 산업기술보호법에 따르면 국가 핵심 기술 기업이 데이터를 클라우드에 저장하는 경우에는 승인을 받아야 하는데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없어 클라우드 사용 자체가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 해외 클라우드뿐 아니라 국내 클라우드 기업에도 막혀있는 시장인데도 보고서는 이를 무역장벽으로 언급했다. 가이드라인에 미국 이해당사자들의 목소리가 반영될 수 있도록 힘을 실어주는 차원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요구는 국내 인공지능(AI) 인프라 시장의 성장과 관련이 있다. 정부는 2030년까지 그래픽처리장치(GPU) 3만 장 규모의 ‘국가 AI 컴퓨팅 센터’ 설립을 추진하고 있으며 , SK텔레콤은 6만 장 규모의 AI 데이터센터 구축을 계획하고 있다. 이처럼 공공과 민간에서 AI 인프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미국 기업들은 해당 시장 진입을 위해 규제 완화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장항배 중앙대학교 산업보안학과 교수는 “공공 시장에서는 레퍼런스 확보를 위한 목적이 크고, 민간 시장에서는 AI 기술을 활용하여 그동안 클라우드 도입이 어려웠던 금융, 제조업 등 산업 분야까지 진출하려는 의도가 엿보인다”고 분석했다.
토종 클라우드 업체들은 외국계 클라우드의 국내 AI 인프라 시장 잠식 가속화를 우려하고 있다. 한 국내 클라우드 업계 관계자는 “기술 주권 차원에서 국내 기업들이 자생력을 갖추는 것이 국가 경쟁력과도 직결되기 때문에 AI와 클라우드 시장은 어느정도 보호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USTR은 또 보고서에서 한국의 망 사용료 입법 추진과 위치 기반 데이터의 국외 반출 제한을 무역 장벽으로 지적했다. 2021년부터 해외 콘텐츠 제공업체가 국내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에 망 사용료를 지불하도록 하는 법안들이 다수 발의됐으며, 이는 한국의 주요 3개 ISP(SK브로드밴드, KT, LG유플러스) 과점 체제를 더욱 강화해 콘텐츠 산업에 해를 끼치는 반경쟁적 요소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한국이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위치 기반 데이터 수출에 제한을 두고 있으며, 2024년 12월 31일 구글 등 해외 기업들의 수많은 신청에도 불구하고 지도 제작이나 기타 위치 기반 데이터 수출에 대한 라이선스를 승인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