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관세 앞두고 업계 의견 반영
정부 "협상 요청은 없었다" 신중
축산농가 "월령제한 해제 안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거론한 우리나라 농산물 분야 무역장벽은 지난해와 유사한 수준이다. 국익을 최우선으로 대응하겠다." USTR이 1일 미국산 쇠고기, 농산물 등에 대한 한국 검역절차를 '무역장벽'으로 규정한 보고서를 제출한 것에 대한 농림축산식품부의 입장이다. 전문가들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농업부문 시장개방률이 약 98%에 달하는 상황에서 다른 통상 요구를 위해 농산물을 지렛대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블루베리 등 '검역 무역장벽' 언급
1일 USTR이 내놓은 '2025 국가별 무역장벽 보고서'(NTE)에 따르면 농산물 관련 무역장벽으로 판단한 분야는 크게 3가지다. △쇠고기 및 쇠고기 가공품(육포, 소시지) 규제 △유전자변형생물체(LMO) 규제 △원예 농산물 검역 등이다. 보고서는 미국 내 협회·단체 의견을 수렴해 작성된다. 외국 무역장벽과 장벽을 낮추기 위한 USTR 과제와 성과를 설명하는 식이다.
NTE는 LMO 관련해 "(한국의) 현행 LMO 관련법은 법 개정 없이 승인 절차가 간소화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봤다. 또한 원예 농산물에 대해 "오리건 주 이외 미국 주에서 생산된 블루베리 및 11개 미국 주에서 생산된 감자의 시장접근 확대, 사과, 배, 베이비당근, 딸기, 캘리포니아산 핵과류, 냉동 라즈베리 및 블랙베리의 시장 접근 확대"를 명시했다. 반면 한국은 '검역'을 통해 해당 농산물 수입을 막고 있다.
■축산농가 "월령제한 해제는 안돼"
전문가들은 한미 FTA로 농산물 관세는 낮거나 없어지는 추세이기 때문에 미국 측이 무리하게 수입을 요청할 가능성은 낮다고 봤다. 실제 한국은 미국산 쇠고기의 최대 시장이다. 지난해 한국에서 약 22억2000만달러(약 3조2641억원) 규모의 미국산 쇠고기가 팔렸다.
정대희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부연구위원은 "미국 정부가 30개월령 제한 폐지를 한국 정부에 요구할 경우 소비자의 반발로 미국산 쇠고기의 판매량이 줄어들 수 있다. 더한 요구를 하긴 쉽지 않을 것"이라며 "LMO 및 검역절차에 대해선 과학적으로 대응하면 된다"고 말했다. 이어 "농산물은 검역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협상 카드로 쓰는 건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junjun@fnnews.com 최용준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