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테크 못잡고 국내 기업만 규제할 가능성 높아…산업 생태계 몰락 초래할 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워싱턴D.C./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이 한국의 디지털 무역장벽을 정조준하면서 국내 기업들이 큰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커졌다. 망 사용료, 플랫폼법, 지도 반출 제한 이슈가 한미 간 외교 문제로 비화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국내 기업에 대한 역차별 우려도 확산하고 있다.
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2일(현지시간)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공개한 '2025 국가별 무역장벽 보고서(NTE)'에서 한국의 망 사용료 법안과 온라인 플랫폼 규제, 지도 반출 제한 등이 미국 기업에 불리하고 한국 기업에 유리하다는 점을 강하게 비판하면서 한국이 추가적인 통상 압박을 받을 가능성이 커졌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추진 중인 플랫폼 규제의 좌초 가능성뿐만 아니라, 국내 기업 역차별로 인해 한국 ICT 생태계가 위축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우리나라는 빅테크가 점령하지 못한 세계에서 몇 안 되는 나라 중 하나지만 정부의 역차별 정책으로 인해 한순간에 네이버와 카카오 등 토종 플랫폼이 그동안 지켜온 안방을 내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전 교수는 “유튜브가 국내 동영상 플랫폼 시장을 장악하면서 한국에서 동영상 관련 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한 투자도 사실상 중단됐다”며 “앞으로도 잘못된 규제 하나가 산업 전체를 흔들 수 있는 만큼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다른 나라들은 규제 완화나 정책 조정을 통해 자국 기업을 보호하며 미국과의 갈등을 최소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
최근 인도는 ‘구글세’(다국적 IT 기업들의 광고 매출에 6%의 세율을 부과하는 디지털 서비스세) 폐지를 추진하고 있다. 이 규제는 구글뿐만 아니라 메타, 아마존 등 미국의 빅테크 기업에도 적용되기 때문에 인도가 선제적으로 규제를 철폐하며 미국과의 관계를 관리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이투데이/김나리 기자 (nari34@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