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찾기 기능 국내 제공...기기 분실 시 유용
애플워치, 아이패드 등에서 기기 찾을 수 있어
애플인텔리전스 한국어 기능도 1일부터 제공
글쓰기 도구, 메일·알림 요약 등 제공
아이폰 나의 찾기(사진=애플)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애플은 1일부터 ‘나의 찾기’ 기능과 ‘애플 인텔리전스’의 한국어 서비스를 공식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 등에서 ‘나의 찾기’ 앱을 통해 본인의 모든 애플 기기를 찾고, 가족 공유 그룹과 위치 정보를 손쉽게 공유할 수 있게 됐다.
그동안 국내에서는 아이폰의 ‘나의 찾기’ 기능이 온라인 접속 확인이 불가능하고, 블루투스 범위 내에서만 제한적으로 기기를 찾을 수 있었다. 이번 업데이트로 보다 정밀하고 실시간에 가까운 위치 추적이 가능해졌다.
예를 들어, 미취학 자녀를 둔 가정에서는 아이의 위치를 부모와 상호 공유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자녀의 안전을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분실 모드’를 활성화하면 아이폰 분실 시 자동으로 기기가 잠기며, 애플페이 등 결제 기능이 비활성화된다. 이와 함께 습득한 사람이 주인에게 연락할 수 있도록 연락처 정보도 화면에 표시된다.
데이비드 돈 애플 서비스 제품 시니어 디렉터는 “’나의 찾기’는 친구, 가족, 개인 물품 등 소중한 것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도구로, 한국 사용자에게도 선보일 수 있어 매우 기쁘다”며, “기기를 들고 여행 중일 때나 친구와 약속을 잡을 때도 개인정보를 보호하면서 실시간으로 연결을 유지하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설명했다.
아이폰 16에서 시리에게 제주도 1박2일 여행계획을 질문하자 챗GPT와 연계해서 정보를 제공해주는 모습(사진=윤정훈 기자) |
작년 9월 출시한 애플 인텔리전스도 이날부터 한국어를 지원한다. 주요 제공 기능은 △글쓰기 도구 △사진 앱의 ‘클린업’ 기능 △메일 스마트 답장 △중요 내용을 먼저 알려주는 ‘최우선알림’ 기능 △시리의 음성 인식 및 맥락 이해 능력 개선 △시리와 챗GPT 통합 △아이폰16 시리즈의 카메라 컨트롤 기능을 활용한 시각 지능 기능 등이다.
‘시각지능’ 기능도 갖췄다. 시각지능은 사진 속의 텍스트를 감지하고, 이를 요약해줄 수 있다. 이를 활용하려면 아이폰16 시리즈의 카메라 컨트롤 버튼을 길게 누르면 된다.
다만 특정 장소나 시간을 추출해서 바로 캘린더로 옮겨주는 등 한층 개인화된 사용경험을 제공하는 ‘애플 인텔리전스 시리’는 아직 출시하지 않았다. 애플이 ‘완성형 시리’ 출시를 내년으로 미룬 만큼 이 기능은 2026년에 볼 수 있을 전망이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