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복귀 데드라인 마감
이화여대·중앙대 등 30여 곳 전원 복귀
등록 후 수업 거부 투쟁 가능성 여전
교육부 "26학년도 모집인원 결정 안돼"
모집정원 '0' 판단 4월 30일 직전 가능성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가 의대생들이 등록 이후 수업을 들어야 의대 교육 정상화로 볼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정부가 제시한 의대생 복귀 데드라인을 맞아 의대생들의 등록이 줄 잇고 있지만 등록을 마친 의대생들이 ‘등록 후 수업 거부’ 방식으로 투쟁을 이어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당국이 ‘전원 복귀’ 여부를 판단한 후 의대 모집 정원 동결을 결정하기로 한 시점도 4월 말로 늦춰질 가능성이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교육부 관계자는 3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등록금을 납부했다고 (의대생들이) 복귀했다고 볼 수 없다”고 밝혔다. 교육부의 의대생 복귀 정의는 7일 의대 교육 정상화 대책 발표 때부터 ‘등록 후 수업 참여’로 한결같았다. 두 가지 조건이 모두 충족돼야만 24학번과 25학번을 동시 교육하는 더블링 문제를 해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교육부가 이날 또다시 복귀 원칙을 분명히 한 것은 대학들이 의대생 복귀를 독려하기 위해 등록 마감 일정을 늦추면서 의대생들의 복귀 여부를 현 상황에서는 판단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대학들이 등록일을 연장하고 있고 등록금 납부일을 4월로 늦추는 곳도 있어 실제 복귀율 자체는 빨리 집계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다행히 미등록 시 제적이라는 초강수와 의대 학장을 중심으로 한 학교 측의 설득에 의대생들의 ‘단일대오’가 깨지면서 등록률만 놓고 보면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 동결 가능성은 커졌다.
다만 등록을 마친 복귀생들의 수업 참여율이 현재로서는 높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수도권 한 의대의 경우 예과 1학년이 수업을 듣는 강의실에 8명만 참석한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 소재 의대 등록생의 90% 이상이 등록 후 수업을 거부하기로 했다는 내용의 글도 의대 게시판에 올라왔다. 이날까지 각 대학의 등록률을 취합한 뒤 전원 복귀 여부를 판단해 의대 모집 인원을 정할 계획이었던 교육부 입장이 바뀐 것도 이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 관계자는 “공식 입장은 복귀율(에 대한 판단)이나 의대 모집 인원과 관련해 아무것도 결정된 게 없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의대생들의 수업 참여가 본격화한 지 얼마 안된 만큼 교육부가 복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최소 2~3주가 필요해 내년도 의대 모집 정원은 각 대학이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에 모집 인원을 제출해야 하는 4월 30일 직전에나 나올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교육부 관계자는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 확정과 관련해서는 4월 30일까지 각 대학이 대교협에 모집 인원을 제출해야 한다”면서 “당연히 그때까지는 총 모집 인원이 정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