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이번 사고가 자연재해가 아닌 사람의 잘못이나 실수로 인해 발생한 인재(人災)로 평가된다는 점이다. 사고 원인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지만 싱크홀이 발생하기 전 서울시와 시공사에 접수된 주민들의 민원만 제대로 파악했어도 황망한 사망 사고는 막을 수 있었다.
이동훈 건설중기부장 |
도로는 더 이상 안전한 장소가 아니다. 지하철9호선 연장 공사가 이번 사고와 직접적 연관이 있는지 단언하기 어렵지만, 대형 공사가 주변 도로 지반을 약화하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다. 서울은 과거 한강 하천이 범람해 생겨난 평원 위에 형성된 곳으로 지반이 강하지 않은 지역이다. 건축 기술력이 과거에 비해 상당 폭 개선됐다지만 주변 시설물에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는 기술은 존재하지 않는다.
서울시내 땅 밑에는 오늘도 상당수 건설 공사가 진행 중이다. 수도권 인구 분포가 서울에서 경기도, 인천 등으로 퍼지면서 사람들을 이동시킬 교통망이 필요해졌기 때문이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A노선과 서울경전철, 지하철 연장 등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도로 위 안전이 보장되지 않는 땅 밑의 개발은 환영받을 수 없다. 2014년부터 10년간 전국에서 발생한 싱크홀은 2085건에 달한다. 이중 서울이 216건으로 연평균 크고 작은 땅 꺼짐이 21건 발생한 셈이다. 사고 수치만 봐도 시민 누구든 안전을 위협당할 수 있다.
"초두난액(樗栎难役)이 곡돌사신(曲突徙薪)보다 못하다"는 말이 있다. 재난을 미리 생각해 방비하는 것이 재난을 당한 후에 은혜를 베푸는 것보다 낫다는 뜻으로, 조선시대의 유학자 정약용이 쓴 '목민심서'에서 강조한 주제 중 하나다. 집값이나 지하철 연장보다 시민의 생명을 우선하는 행정력이 절실하다.
leedh@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