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소형 반도체 칩 위에 저잡음 브릴루앙 레이저 구현
중적외선 영역에서 고성능 브릴루앙 레이저 광원 구현 기술 개념도 |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한석 교수팀은 호주국립대 최덕용 교수, 예일대 피터 라키치 교수, 한국원자력연구원 고광훈 박사, 중국 닝보대학교 롱핑 왕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중적외선 파장 대역에서 고성능 광원인 '브릴루앙 레이저'(Brillouin laser)를 초소형 반도체 칩 위에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31일 밝혔다.
브릴루앙 레이저는 물질 내 빛과 음파의 상호작용을 통해 매우 안정적이고 잡음이 적은 레이저 빛을 만들어 내는 광원이다. 가시광선이나 근적외선 영역에서는 구현된 바 있으나, 중적외선 영역에는 적용하기 쉽지 않았다.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에서 광소자 제작에 사용됐던 많은 물질이 중적외선 파장에서는 빛을 강하게 흡수해 이용이 어렵고, 중적외선의 특징인 빛과 분자 사이 강한 상호작용으로 인해 광 손실이 추가로 발생, 고성능 광소자를 제작하기 어려웠다.
이어 중적외선 광소자에서 생기는 광 손실을 정량 분석하고 억제하는 기술을 개발, 중적외선 파장 광 손실이 기존의 30분의 1에 불과한 고성능 광소자 칩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중적외선 파장 대역의 소형 저잡음 레이저 개발을 통해 분자의 특성을 세밀하게 분석하거나 빛을 이용해 화학 반응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 지난 19일 자에 실렸다.
중적외선 영역에서 고성능 광소자 구현한 KAIST 연구팀 |
jyoung@yna.co.kr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