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이어 전공의 ‘단일대오’ 무너질 조짐
전공의 조기복귀 희망 움직에도
정부 “현재로선 하반기까지 추가 모집 없어”
전공의 조기복귀 희망 움직에도
정부 “현재로선 하반기까지 추가 모집 없어”
사진은 이날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전공의실 앞 복도의 모습.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의대생들이 ‘단일 대오’를 깨고 속속 복귀하면서 선배인 전공의들의 거취에도 영향을 미칠 지 주목된다. 전공의들은 그간 ‘의대 증원 백지화’를 포함한 이른바 7대 요구안을 고수하며 단일 대오를 유지해왔지만 수련 현장으로 복귀할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30일 정부와 의료계 등에 따르면 현재 전국에서 수련 중인 전공의는 인턴 211명, 레지던트 1461명 등 총 1672명이다. 이는 지난해 2월 전공의 사직 사태가 빚어지기 전 숫자 1만3531명(임용 예정자 포함) 대비 불과 12.4% 수준이다. 수련을 거부하고 병원을 떠난 전공의 중 5500명가량은 다른 병·의원에서 근무 중이고, 880여 명은 군의관과 공보의로 이달 입영했다.
하지만 전공의들 역시 변화 분위기가 감지된다. 한 사직 전공의는 “의정갈등 1년간 얻어낸 게 없고 얻어낼 수 있는 것도 없는데 앞으로 1~2년을 더 버려야겠느냐는 분위기가 있다. 상반기 중에라도 모집하면 돌아간다는 얘기를 꽤 많이 들었다”고 전했다.
현재로서는 전공의들이 복귀를 희망한다 해도 올 상반기 복귀는 일단 어려워 보인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하반기 모집 전 추가모집 계획은 없다. 전공의 수련도 ‘학기제’ 개념이라 중간에 선발하기는 어렵다”며 “전공의나 병원 등의 추가모집 요청도 현재로서는 없다”고 말했다.
한 의료계 관계자는 “전공의들 목소리가 강경파 위주로만 나오고 있어서 전혀 분위기를 파악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최근 빅5 병원에 전공의들의 복귀 문의가 이어지는 등 정부의 추가 조치 움직임을 예의 주시하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