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5 의대 전원 복귀 이어 지방국립 의대 복귀 움직임
수업 거부 가능성…의대 모집인원 확정 늦어질 수도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앞으로 시민들이 오가고 있다. /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권형진 기자 = 정부가 정한 의대생 복귀 시한이 31일로 마감된다. 이른바 '빅5'로 불리는 병원의 의대를 비롯해 상당수 의대생이 복귀하면서 1년 넘게 이어온 집단휴학 사태가 종식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일부 강경파 의대생의 '등록 후 휴학·수업 거부' 입장도 여전해 의대 교육 정상화는 '2라운드'가 시작됐다는 평가도 있다.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도 4월 말에나 확정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대학가에 따르면 이날 가천대, 건국대, 계명대, 단국대, 대구가톨릭대, 아주대, 원광대, 한양대 등이 의대생 복귀·등록 신청을 마감한다. 21일 경북대, 고려대, 연세대 등에서 시작된 의대생 복귀 신청이 마무리되는 것이다.
서울대를 비롯해 가톨릭대, 성균관대, 연세대, 울산대 등 이른바 '빅5' 병원의 의대생들은 사실상 전원 등록하거나 복귀 의사를 밝혔다. 고려대 의대생도 전원이 복학 신청을 했다.
일부 수도권 의대와 지방 의대는 복귀 신청자가 절반을 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주요 의대를 중심으로 일단 복학하자는 분위기가 확산하면서 상당수 의대생이 복귀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지방 국립대 의대 중에서는 충남대와 부산대가 전원 복귀했다.
개강했지만 텅 빈 의과대학 도서관. /뉴스1 ⓒ News1 김영운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의대생 복귀 가시화…'수업 정상화'가 더 중요한 기준
'의대생 전원 복귀'의 경우 '100% 복귀' 의미는 아니라고 교육부는 밝혔다. 그러나 몇 퍼센트의 의대생이 복귀했을 때 복귀로 인정할지, 과반이면 되는지 등에 대해 문제 제기가 나올 수 있다.
복귀율보다 중요한 기준은 실제 정상적으로 수업이 이뤄지는 것이다. 의대생들이 정부와 대학의 강경한 방침에 우선 제적을 피하기 위해 등록은 했지만 이후 휴학, 수업 거부 방식으로 사실상 집단휴학을 이어가겠다는 강경 입장도 여전하다.
실제 연세대 등 일부 의대 학생회는 투쟁 방식을 등록 후 휴학·수업거부로 변경한다고 밝혔다. 전원 복귀한 것으로 알려진 울산대도 전날 학생회에서 "등록 후 투쟁의 기본 방침은 등록 후 휴학계 제출·거부"라며 "투쟁을 지속하고자 하는 학우들은 휴학계를 제출해 달라"고 권고했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학생 복귀 및 의대교육 정상화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수업 정상화까지 판단하면 4월 말 모집인원 확정 전망
교육부도 이미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은 대학 총장이 정할 수 있게 하는 내용의 고등교육법 시행령 개정 작업을 준비하고 있다. 적어도 2000명 증원한 '5058명으로는 안 가겠다'는 메시지인 셈이다.
복귀 시한으로 정한 이날이 지나면 교육부는 전국 의대생 복귀 현황을 취합해 이르면 이번 주 '복귀 여부'와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에 대한 입장을 발표할 전망이다. 그러나 교육부가 '정상적으로 수업을 하느냐가 판단 기준'이라고 밝힌 만큼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 확정 시기가 4월 중순에서 말로 늦춰질 가능성도 있다.
지난해의 경우 정부가 2025학년도 모집인원을 대학이 증원분의 50~100% 범위에서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게 확정한 게 4월 19일이었다. 이후 대학별 모집인원을 4월 30일까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에 제출했다. 올해도 기존 5058명인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변경하려면 4월 말까지 대교협에 대학별 입학전형 시행계획 변경안을 제출해야 한다.
jinny@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