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국 모두 부과 대상 거론…멈춰 있던 ‘3자 FTA’ 속도 낼 듯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가운데), 무토 요지 일본 경제산업상(왼쪽),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이 30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13차 한·중·일 경제통상장관회의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문재원 기자 mjw@kyunghyang.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발표를 앞두고 한·중·일 3국 통상장관들이 한자리에 모여 3국 간 협력을 확대해 나가자는 데 뜻을 모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0일 안덕근 장관,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 무토 요지 일본 경제산업상이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13차 한·중·일 경제통상장관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한·중·일 통상장관회의는 2019년 12월 베이징 회의 이후 5년여 만이다.
안 장관은 “글로벌 경제통상 환경이 급변하는 가운데 3국 통상장관이 만난 것은 세 나라뿐 아니라 국제사회에도 큰 의미”라며 “상호 존중과 신뢰를 바탕으로 3국 협력을 통해 안정적인 글로벌 교역투자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3국은 미국의 주요 무역적자국으로서 관세 부과 대상이 될 것으로 거론되는 상황이다. 3국 장관은 이날 회의에서 세계무역기구(WTO) 개혁,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신규 회원 가입 등 다자무역 체제 관련 이슈와 함께 포괄적이고 ‘높은 수준’의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 추진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회의를 계기로 별도의 한·중, 중·일, 한·일 양자접촉도 연쇄로 열렸다.
이진주 기자 jinju@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주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