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내 미국 조지아주에 준공할 예정인 CJ푸드빌 공장의 예상 모습. CJ푸드빌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하철 8호선 장지역 부근에 위치한 패밀리레스토랑 '빕스 송파 현대 가든파이브점'. 지난해 11월 개점한 이곳은 주말만 되면 대기 시간이 30분~1시간에 달할 만큼 북적인다. 지난해 12월 문을 연 '빕스 마곡 원그로브점'은 지난달 22일 하루 방문객이 1000명을 돌파하기도 했다. '빕스 목동41타워점'도 주말에는 30분 넘게 기다려야 입장이 가능하다. 이 지점은 서울 영등포구 일대 전망이 한눈에 들어오는 곳에 위치해 연인에게도 인기가 많다.
CJ푸드빌이 뚜레쥬르와 빕스를 통해 부활하고 있다. CJ푸드빌은 한때 손대는 외식브랜드마다 성공하며 승승장구했지만,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적자에 허덕여왔다. 이후 투썸플레이스 매각 등 국내외 사업 재편을 통해 되살아나고 있다.
30일 CJ푸드빌은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9092억원, 영업이익 556억원을 달성했다. CJ푸드빌은 지난해 매출 9000억원을 돌파한 데 이어 올해 1조원에 도전한다. CJ푸드빌이 올해 매출 1조원대를 달성하면 2018년(1조544억원) 이후 7년 만에 1조원대로 진입하는 것이다.
가장 큰 성장동력은 뚜레쥬르의 해외 사업이다. 국내 프랜차이즈 사업 환경 여건이 갈수록 악화되면서 해외 사업, 특히 미국 공략에 사활을 걸고 있다.
CJ푸드빌은 가맹점 모집에 속도를 내기 위해 올해 말 미국 조지아주 홀카운티 게인즈빌 지역에 대지면적 약 9만㎡ 규모에 달하는 공장을 준공할 예정이다. 이곳에서 냉동 생지 등 빵 재료는 물론 케이크, 빵 등을 생산해 뚜레쥬르의 미국 내 가맹점에 공급할 계획이다.
CJ푸드빌은 미국 내 물류 시스템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CJ그룹의 물류 계열사인 CJ대한통운이 애틀랜타에 구축한 물류센터에 CJ푸드빌의 중부 물류센터를 마련해 다음달부터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간다. CJ푸드빌은 애틀랜타 물류센터를 확보해 기존 물류센터까지 포함해 서부, 동부, 중부를 아우르는 강력한 공급망을 갖추게 됐다.
CJ푸드빌은 뚜레쥬르의 국내 사업도 강화하기 위해 지난해 12월 브랜드 정체성(BI)을 8년 만에 바꿨다. 제품과 공간을 혁신해 프리미엄 베이커리 카페로 도약하기 위한 전략이다.
CJ푸드빌의 두 번째 성장 축은 빕스다. 빕스는 2010년대 들어 패밀리레스토랑이 하나둘 사라지는 상황에서도 명맥을 이어왔다. CJ푸드빌은 코로나19 팬데믹 때 빕스의 사업 방향을 공격적인 출점 대신 고급화로 바꿨다. 수익성이 떨어지는 매장을 과감히 정리해 현재 32개의 매장이 있으며, 전부 직영점이다.
[신수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