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오오에이아이(oo.ai)는 다른 인공지능(AI) 대비 10배 이상의 문서를 참고하고 답변하지만 속도는 더 빠릅니다."
김일두 오픈리서치 대표(사진)는 최근 매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자사 AI 검색 플랫폼 'oo.ai'를 소개하며 이같이 말했다. 김 대표는 작년까지 카카오브레인 대표를 맡으며 초거대 언어모델 'KoGPT' 등 카카오의 AI 프로젝트를 주도해온 인물로, 카카오를 퇴사한 후 지난해 7월 오픈리서치를 창업하고 검색 AI 모델 개발에 매진해왔다.
김 대표는 오류가 적고 속도가 빠른 것을 oo.ai의 강점으로 내세웠다. 김 대표는 "oo.ai는 환각 현상과 속도라는 기존 생성형 AI의 문제점을 해결한 플랫폼"이라며 "궁극적으로 일반 검색 포털처럼 엔터키를 누르는 동시에 바로 결과가 나올 수 있을 만큼 빠르게 만들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이것이 가능한 것은 오픈리서치가 여러 문서를 읽어도 시간이 늘어나지 않게 속도를 유지하는 언어모델 기술을 원천 개발했기 때문이다. 김 대표는 "기술이 완성되면 지금보다 속도는 2배 정도 빨라지고, 비용은 10분의 1로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oo.ai가 퍼플렉시티보다도 높은 성능 평가(벤치마크) 결과를 받은 것도 이 기술 덕분이라는 설명이다.
커머스 외에도 향후 차례로 한 분야씩 전문성을 갖춘 AI로 발전해가는 것이 김 대표의 구상이다. 김 대표는 "한 분야씩 집중 학습을 이어가 궁극적으로는 사용자들의 모든 액션에 대해 사려 깊은 답변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말보다 코딩이 빨라야 한다'는 말을 자주 농담처럼 하는데, 그만큼 우리는 빠르게 서비스를 발전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안선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