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02 (수)

의대생 대규모 복귀 가시화…'수업거부' 불씨는 여전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의대생 복귀 마감 시한이 내일(31일)로 다가온 가운데 서울대, 연고대를 비롯한 대다수 의대생들이 복귀를 택하고 있습니다.

다만 등록 후 수업 거부의 불씨는 여전한데, 정부와 대학들은 수업 거부에 대해서도 학칙에 따라 엄정 대응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이동훈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가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확정하기 위해 정한 학생 복귀 시한은 이 달 말까지입니다.

복귀 시한을 코앞에 두고 주요상급병원, 이른바 '빅5'의 의대생들이 사실상 전원 복귀했습니다.

그간 '불복'을 고수했던 의대생들이 정부와 대학들의 엄정 처분 방침에 막판 선회를 택한 겁니다.

건국대, 한양대 등 일부 대학만 등록 기간이 남은 가운데, 학생들 사이에서 복학 분위기가 확산하는 만큼 대규모 제적 사태는 피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합니다.

다만 갈등의 불씨가 완전히 꺼진 건 아닙니다.

실제로 서울대, 연세대 등 일부 의대 학생회는 '등록 후 휴학'이나 수업 거부 등의 방식으로 투쟁을 이어나가겠다는 입장인 걸로 전해졌습니다.

정부와 대학들은 수업을 듣고 학점을 이수해야만 진정한 '복귀'로 볼 수 있다는 입장입니다.

<양오봉 /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 공동회장> "원칙대로 학칙을 엄격하게 적용을 할 예정입니다. 예를 들면 수업을 안 들으면 유급을 당연히 시키고요."

교육부는 복귀시한이 끝나면 학생들이 얼마나 돌아왔는지 취합해, 2026학년도 정원을 3,058명으로 유지하는 조건인 '전원 복귀'의 기준에 부합하는지 판단할 방침입니다.

앞서 교육부는 '전원'의 기준을 '학사운영과 수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수준'이라고 설명한 바 있고 대학 총장단은 "통상적으로 과반은 돼야 정상 교육이 가능할 것"이라고 봤습니다.

교육부는 복귀율이 절반에 미치지 못한 대학에 대한 조치를 포함한 관련 입장을 이번 주 내로 밝힐 계획입니다.

연합뉴스TV 이동훈입니다.

#교육부 #의정갈등 #의대생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동훈(yigiza@yna.co.kr)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