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웰컴 투 비스포크 AI' 행사 진행
Easy to Use·Care·Saving AI 솔루션 제시
삼성전자 '웰컴 투 비스포크 AI' 행사가 28일 오전 서울 광진구 파이팩토리 스튜디오에서 열린 가운데 신제품들이 소개되고 있다. /장윤석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더팩트ㅣ조소현 기자] 삼성전자가 2025년형 비스포크 AI 가전 라인업을 공개하며, AI 기술을 중심으로 한 사용자 맞춤형 홈(home)이라는 전략적 전환을 본격화했다. 냉각 방식을 자동 조절하는 냉장고, 흡입력을 상황에 맞춰 조정하는 청소기 등을 선보인 만큼, AI 기술이 가전 사용 경험을 얼마나 바꿔놓을지 주목된다.
삼성전자는 지난 28일 서울 광진구 파이팩토리 스튜디오에서 '웰컴 투 비스포크 AI' 행사를 열고, AI 기술을 중심으로 한 스마트홈 전략과 이를 구현한 차세대 가전 라인업을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고(Easy to Use), 사용자를 돌보며(Care), 시간과 에너지를 절약하는(Saving) AI 가전 솔루션'을 스마트홈 전략의 비전으로 제시했다. 비전 구현을 위해 '스마트싱스', '녹스', '빅스비'라는 세 가지 기술 축을 기반으로 한 통합형 AI 홈 전략을 공개했다.
우선 스마트싱스는 별도 허브 없이 스크린 가전만으로 4600여개의 IoT 기기를 연결·제어할 수 있게 됐다. 기존에는 패밀리허브 냉장고에만 스마트 허브가 탑재됐으나, 올해부터는 일반 냉장고, 세탁기, 오븐 등으로 확대 적용하게 된 것이다.
또 비밀번호와 인증 정보 같은 민감한 개인정보는 별도 하드웨어 칩에 저장하는 '녹스 볼트' 기술이 올해부터 스크린 탑재 가전과 로봇청소기 등에 처음으로 적용된다. 향후에는 양자컴퓨팅 기반 공격에 대비할 수 있도록 '양자 내성 암호' 기술도 도입할 계획이다.
빅스비는 Easy to Use와 Care 비전을 함께 구현했다. 올해부터 적용되는 '보이스 ID'는 사용자의 목소리를 인식해, 일정이나 사진, 스마트폰 알림을 개인 맞춤으로 제공한다.
삼성전자 '웰컴 투 비스포크 AI' 행사가 28일 오전 서울 광진구 파이팩토리에서 열린 가운데 신제품들이 소개되고 있다. /장윤석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Care 가치는 '홈 케어'와 '패밀리 케어' 기능으로 구체화된다. 홈 케어는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감지해 일상적인 가전 사용 여부를 기반으로 이상 징후를 인식하고 알림을 보내는 기능이다. 일정 시간 냉장고나 정수기 사용이 감지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알림을 보내고 로봇청소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집안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Saving 가치도 다양한 기능으로 구현됐다. 비스포크 AI 가전은 탄소 배출이 적은 시간대를 자동으로 파악해 세탁·건조 시점을 조정하거나, 창문이 열린 상태에서 에어컨이 가동되면 이를 감지해 알림을 보내는 기능 등을 제공한다. 또 집에 사람이 없을 때는 조명과 TV가 자동으로 꺼지고 일부 가전이 절전 모드로 전환되는 기능도 지원된다.
전서연 가전사업부 프로는 "집이 비었을 때 오히려 가전이 바빠진다"며 "집안일을 더 쉽게 하고, 더 효율적으로 아끼고 소중한 것을 세심하게 돌보자"고 말했다.
삼성은 이같은 기술 기반 위에 다양한 신제품을 공개했다. 먼저 '비스포크 AI 하이브리드' 냉장고는 9인치 스크린을 탑재해 일정, 날씨, 추천 레시피 등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식재료 인식 범위는 33종에서 37종으로 늘어났다. 자주 사용하는 가공식품은 최대 50종까지 인식·등록할 수 있도록 개선됐다.
세탁·건조기 부문에서는 '비스포크 AI 콤보'가 세탁 25kg, 건조 18kg으로 국내 최대 용량을 지원한다. 열교환기 면적 확대와 예열 기능 개선으로 쾌속 코스를 79분 만에 완료할 수 있다. 고급형 라인업인 '인피니트 AI 콤보'는 메탈 소재와 히든 도어 디자인을 채택해 고급스러운 외관과 내구성을 함께 확보했다.
청소기 제품군도 새롭게 강화됐다. '비스포크 AI 제트'는 400W 흡입력과 최대 100분 사용 가능한 배터리를 탑재하고, 바닥과 벽면 구석을 인식해 흡입력을 자동 조정하는 'AI 모드 2.0'을 적용했다. '비스포크 AI 스팀'은 액체 감지 센서와 RGB 카메라를 통해 투명 액체까지 식별 가능하며, 구석이나 벽면 등을 감지하면 브러시와 물걸레를 뻗어 닦아내는 '팝 아웃' 기능, 자동 급배수 시스템이 탑재돼 청소 편의성을 높였다.
이 외에도 오븐, 인덕션, 식기세척기, 에어컨 등 다양한 제품의 AI 기능이 강화됐다. 인덕션은 냄비 위치와 크기를 인식해 타이머와 화력을 자동으로 조절하고, 식기세척기에는 오염도 기반 세척, 자동 문 열림, 에너지 절감 기능까지 포함됐다.
sohyun@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